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車惠媛 (延世大)
저널정보
동양사학회 동양사학연구 東洋史學硏究 第135輯
발행연도
2016.6
수록면
59 - 93 (35page)
DOI
10.17856/jahs.2016.06.135.5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14世纪后半期以来约两个世纪内, 明朝與日本持续着不包括册封在内的朝贡关系。日本的室町幕府因为内部问题, 随着安定的入贡变得困难, 采取了向有实力的大名们委任勘合贸易权限的方式而维持朝贡。本研究以1523年(嘉靖二年)的宁波争贡的出发点, 检讨了明朝方面如何应对日本的不安定的朝贡。争贡之后, 对于日本的遣明使节的断绝, 明朝基本上采取了通过朝鲜或者琉球使节, 试图在获取日本國王的道歉后重开贡市的方式来应对。
16世纪中半期, 在北虏南倭的危机情况下, 明朝, 尤其是浙江省地方当局希望日本能根绝倭寇, 恢复秩序, 并以此为条件, 提议复原朝贡與市场。这也是王直等率领的武装走私贸易集团, 即“倭寇们”恳切希望的事情。当时胡宗宪幕府派遣的蒋洲一行常常被理解为怀柔倭寇头目王直的说客或是间谍。然而, 蒋洲携带着明朝的公文书, 具有向日本提议重开贡市的使节的性质。在蒋洲與王直一行的迟到與王直的被处死之后, 明朝與日本的关系彻底断绝。1567年(隆庆元年), 虽然明朝启用了福建省月港, 放松了海禁, 许可了中國商人的往市, 但也切断了不仅是與倭寇, 也切断了與朝贡國日本的接触。
壬辰战争时期, 在明朝與日本的议和交涉中, 此问题再次作为主要争论点被提出。围绕该同意将日本的册封ㆍ朝贡ㆍ市场划定在什么范围之内的问题, 明朝内部产生了对立。当时被讨论的对日本市场开放的必要性问题, 在一部分中國知识人之间得以继续传承。在这样的历史脉络中可以理解进入清代后, 與日本的无封贡之市场, 即明代的朝贡秩序中, 不是互市却实现具有独立性的互市的情况。一方面是对于倭的暴力性的恐怖與警惕, 另一方面是维持市场的必要性,这是16世纪两國关系留下的两种类型的遗产。

목차

서론
Ⅰ. 明日 조공관계의 위기
Ⅱ. 貢市에의 권유 - 蔣洲사절 再考 -
결론
참고문헌
〈中文抄录〉

참고문헌 (5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910-000800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