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조유평 (절강월수외국어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무역학회 무역학자 전국대회 발표논문집 한국무역학회 2016 전국무역학자대회 및 경북무역포럼
발행연도
2016.6
수록면
163 - 181 (1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 정책 이후에 지난 40년간 고도의 성장을 이루어왔다. 현재 중국은 G2로써 세계의 경제 강국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많은 경제학자들은 중국의 이러한 경제 발전에 주목하고 있다. 중국은 이러한 경제성장을 일러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한 결과라고 말하고 있다.
중국의 이러한 경제 성장은 ‘기업의 해외진출(走出去)’ 전략을 새로운 개방단계로 가는 매우 중요한 정책으로 발표했고 2012년 시진핑(习近平) 주석은 ’중국의 꿈(中國夢)이라는 청사진을 제시하면서 중국이 향후 경제 강국의 중심에 서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이러한 꿈을 실현하고자 중국은 2013년 9월 7일, 카자흐스탄 나자르바예브 대학경연에서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만들어 공동번영과 협력의 시대를 열자(用創新的合作模式,共同建設絲綢之路經濟帶)”라는 제목으로 동남아, 중앙아시아, 중동 등 지역을 거쳐 유럽에 이르는 26개국 44억 명의 인구를 포괄하는 ‘실크로드경제벨트’구축에 관한 구상을 처음 발표하였다.
2013년 10월 3일에는 인도네시아 국회 연설에서는 21세기 ‘해상 실크로드(海上丝绸之路)’ 공동 건설을 제안하였다. 중국-ASEAN FTA를 통해 경제협력의 시사성을 피력하고 더 나아가 동남아시아 지역 국가들과 해양 협력 발전을 위해 공동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2014년 4월 10일 보아오 포럼 공식 개막식 기조연설에서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아시아의 공동 발전 실현을 위해 경제협력이 중요하며 특히 ‘일대일로(一帶一路)’ 건설 추진을 강조하였다. ‘일대일로(一帶一路, one belt · one road)’란 앞서 언급한 ‘실크로드 경제벨트(一帶, one belt)와 21세기 해상실크로드(一路, one road)를 합친 개념이다.
이러한 일대일로는 시진핑 주석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를 견지하고 발전시키며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의 꿈(中國夢)’을 실현하기 위해 제시한 중대한 전략적 구상이다. 이러한 구상은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재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대일로 구상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관계를 재정비하면서 양국이 갖는 여러 가지 분야에서 긴밀한 교류와 경제적으로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에 지리적으로나 경제적인 보완잠재력과 문화적 동질성이 크게 작용하여 자연적 교역 상대국의(Natural Trading Partner)의 전형적인 모습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행보에 한국 기업들 역시 일대일로 정책 참여방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뿐만 아니라 많은 연구를 통해 중국이 주도하는 일대일로에 정책에 대해 중국과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동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의 중국 일대일로의 프로젝트 전략을 어떻게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전략을 세워 경제 강국으로서 세계시장을 향하여 나아가는 시진핑 정부와의 대외경제정책에 한국 기업의 참여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의의를 두며 일대일로 정책 분석을 통해 한국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일대일로”의 정책과 추진현황
Ⅳ. 한국기업의 “일대일로” 프로젝트 활용 전략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24-000810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