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한글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간화선의 수행방법
Ⅲ. 간화선의 심리치료적 기능 - 불안과 망상을 중심으로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A Convergence Study between Ganhwa Seon and Positive Psychology
보조사상
2021 .01
간화선: 마음을 밝히는 몸의 철학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03
불교수행에서 사띠(sati)의 중요성과 그 변용 - 서양선불교와 한국 선수행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
2015 .01
祖師禪과 看話禪의 수행체계 비교
한국불교학
2018 .01
칙센트미하이의 몰입이론을 통해 조명한 한국 간화선
동서철학연구
2019 .01
Korean Seon Buddhism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15 .02
『선문염송』의 글쓰기 -정통과 민족적 정체성의 지향
동아시아불교문화
2016 .01
종달(宗達) 이희익의 재가선 사상과 실천의 전개 양상
禪學(선학)
2024 .08
『선문염송』 등 선어록을 활용한 선 수행
禪學(선학)
2015 .12
『직지』의 내용과 무심선 수행법 : 윤리교육적 접근
호서문화논총
2017 .02
간화선과 심리치료__연구 현황을 중심으로__
인도철학
2015 .01
韓國禪의 보편성과 특수성- 普照 知訥과 眞覺 慧諶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
2019 .01
普照禪에 대한 眞覺慧諶의 僞造說 再考
보조사상
2023 .03
대혜, 몽산, 고봉의 통합적 간화선 수행 요결 - 휴정의 三家錄 을 중심으로 한 고찰 -
禪文化硏究
2022 .12
혜암 성관(慧菴性觀)의 간화선에 대한 고찰
禪文化硏究
2019 .01
선사상 교재의 구성 목차와 수록 내용
한국불교사연구
2021 .12
峰庵 邊月周의 禪思想에 대한 고찰- 「禪學講義」 노트를 중심으로 -
대각사상
2018 .01
최근 한국불교 수행공간에 나타난 자기 테크놀로지 : 자기계발적 주체의 형성을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06
지눌과 경봉의 ‘간화(看話)’에 대한 이해
한국사상과 문화
2016 .01
선수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담론
한국불교학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