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젠더화된 노동:성노동으로 밀려나는 여성
헬조선 탈출의 회로들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국가와 시민권 재정의하기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모순을 응시하는 몽상가들에게 : 데이비드 하비, 『자본의 17가지 모순』(동녘, 2014)
자음과모음
2015 .03
공감격차, 성찰에 실패한 과학 때문인가 과학담론의 배제 때문인가? : 캐런 메싱, 『보이지 않는 고통』(Pain and Prejudice), 김인아 외 옮김, 동녘, 2017
인간연구
2018 .07
백프로는 없다 : 『백래시 정치』 | 신경아 | 동녘 | 2023
황해문화
2023 .06
[당선소감] 동녘의 물불
시조시학
2018 .06
국가와 문화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장 미셸 지앙 지음, 목수정 역,『문화는 정치다』 (동녘, 2011), 316쪽.
프랑스사 연구
2017 .02
연구하는 활동가, 활동하는 연구자를 지향하는 작지만 튼튼한 연구소 : <이주와 인권연구소>를 만나다
문화과학
2017 .03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40년! 걸어온 길, 걸어갈 길
한국기독교와 역사
2022 .09
호남지역 기독교사 연구를 위한 미완의 내비게이션 : 송현강, 『미국 남장로교의 한국선교』(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8.12)
한국기독교와 역사
2019 .03
희망찬 새로운 100년의 꿈을 꾸며 :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편), 『3.1운동과 기독교 민족대표 16인』(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9. 3)
한국기독교와 역사
2019 .03
윌리엄 스마이저 (김남섭 역), 『얄타에서 베를린까지: 독일은 어떻게 분단되고 통일되었는가』 (동녘, 2019)
서양사론
2019 .01
북한 여성과 문화연구
문화과학
2018 .12
[트렌드 연구소] 2016년 ‘이것’이 유행했다
유레카
2016 .12
[트렌드 연구소] 게임 ‘모든 것’으로 확장되다
유레카
2016 .08
일곱 번째 한국인 성직자의 민족과 교회에 대한 고뇌를 들려줌 -『한기근 바오로 신부 서한집』(한국교회사연구소, 2022)-
교회사연구
2022 .12
연구소 창립 30주년 특별 좌담 : 민족문학사연구소의 미래를 생각한다
민족문학사연구
2020 .01
문화는 어떻게 몸에 새겨지는가?
인물과사상
2017 .07
‘강남화’라는 방법과 그 가능성에 대하여 (박배균 외,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 투기지향 도시민과 투기성 도시개발의 탄생』, 동녘, 2017.)
도시연구
2019 .10
어느 올드페미의 편지를 읽으며, 페미니즘 연대를 상상한다. (정현백, 『연대하는 페미니즘: 호주제 폐지부터 탈코르셋까지 함께 쓰는 우리의 이야기』, 동녘, 2021)
여성과역사
2021 .06
[만화] 듀선생의 인생제반연구소 in 문화/과학
문화과학
2022 .12
시대를 거슬러 새 길을 만든 여성들
PAPER
202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