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심상법 (총신대학교)
저널정보
신학지남사 신학지남 神學指南 2015年 겨울호(통권 제325호)
발행연도
2015.12
수록면
61 - 83 (2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kind of spirituality the Korean church and its leaders ought to have through Peter’s suffering and prayer depicted in the Gospel of Mark. We will observe Peter’s spirituality and character depicted in the Gospel of Mark as follows: (1) Peter’s response to Jesus’ first calling to Peter (1:18; cf. 10:28-30), (2) Peter’s confession after the prophecy of Jesus’ suffering (8:31-32) and the meaning of ‘following’ (8:34-38), (3) Peter’s response to Jesus’ transfiguration (9:2-6) and the dialogue between Jesus and Peter (10:28-45), (4) Peter at Gethsemane(14:32-42), (5) Peter at the maid’s court(14:53-72; cf. 8:38), (6) Jesus’ invitation to Peter’s spiritual recovering(14:28 and 16:7). If suffering is the measurement utilized to gauge the spirituality of Mark, prayer is the source and power of his spirituality. This is of the same for the spirituality of Peter. In conclusion, while Peter failed to overcome the temptation of suffering through ‘watchful prayer’ when the time of suffering came to him, we learn that Jesus our Lord ultimately holds the power in initiating discipleship as well as its successful recovery.

목차

서론
1. 마가복음에서의 베드로의 모습
1) 초기 부름(1:17)에 대한 반응(1:18; 10:28-30 참조)
2) 수난 예언 후 베드로의 고백(8:31-32)과 ‘따름’의 의미(8:34-38)
3) 변모 사건에서의 베드로의 반응(막 9:2-6)과 주님과의 문답(막 10:28-45)
4) 겟세마네에서의 베드로(14:32-42)
5) 수난의 시간에 여종의 법정에 선 베드로(막 14:53-72; 막 8:38 참조)
6) 베드로에 대한 ‘예수 따름’의 회복의 초대(14:28과 16:7)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231-002500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