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서론
II. 『나는 진흙이니』: 새 한국 여인상
III. 『전쟁 아기들』: 한국전쟁 포로소설의 변형
IV. 『전투 노래』: 치유의 발걸음
V.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타자의 시선으로 재현한 한국전쟁 서사화 양상 연구 : 하 진, 모레모 두란, 제임스 셜터의 소설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6 .12
루쉰의 중국 고대소설 연구 1 ― 《고소설구침》과 《당송전기집》, 《소설구문초》를 중심으로
중국소설논총
2017 .08
한국어 교육에서 고전소설 수록과 활용 방안 : 일반목적 및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제재화된 작품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
2022 .06
통속문화의 맥락에서 접근한 고전소설 교육의 방향
국문학연구
2018 .01
미국 아동문학 한국전쟁 이야기에서 침묵 깨기 - Brother’s Keeper를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20 .12
한・중 여성 SF소설에 나타난 페미니즘 양상 ― 『지구 끝의 온실』과 『작은 버섯(小蘑菇)』을 중심으로
한중언어문화연구
2024 .08
재미동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프로젝트 수업을 활용하여-
이중언어학
2015 .01
강요된 이념전쟁으로서 6·25전쟁에 대한 고찰
군사연구
2016 .01
Exhaustivity of –(n)un in Korean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7 .06
The magnitude of articulatory gestures for the glide /w/ in Korean: Implications for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of /w/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20 .12
Exclusive Pakkey and Multidimensionality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2 .11
1910년대 미국의 한국에 대한 인식과 3.1운동에 대한 반응
역사와실학
2021 .04
재일동포사회를 통해서 본 한국다문화사회의 비판적 고찰
일본문화학보
2016 .02
한국전쟁과 전남지역 기독교 연구 - 현황과 과제 -
남도문화연구
2020 .01
6.25 전쟁과 한국교회
개혁논총
2020 .01
타자의 아카이브로부터 돌아온 포로들 - 미 육군 통신부대 POW 필름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2021 .01
그림책에 나타난 어린이의 전쟁 경험 비교 연구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9 .12
20세기 후기 중국 공상과학소설 속 비극성에 관한 고찰
중국어문학
2022 .04
남북한 전쟁 서사의 시간성과 여성 주체들의 (임)모빌리티-1950-1960년대 남북한 소설 간 비교를 중심으로
이상리뷰
2022 .12
재생되는 전쟁, 반복되는 서사?한국전쟁 소재 북한소설의 육체성?
사이間SAI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