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며
2. 방법적 검토
3. 조감도를 찾아서
4. 기억의 지리학
5. 마무리하며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포모사(Formosa)’와 ‘대만(臺灣)’ 사이
지방사와 지방문화
2020 .05
臺灣的語言典藏
한국어사 연구
2017 .03
臺灣 언어의 디지털 아카이브
한국어사 연구
2017 .03
거창 강동마을 문화유적의 현재적 활용을 위한 제언
南冥學硏究
2022 .06
조선 典書로서의 『경국대전』 성격과 그 의미
한국사연구
2020 .06
『每日申報』(1910-1945) 기사를 통해 본 식민지 조선의 臺灣 인식
역사문화연구
2017 .01
韓國儒學在臺灣的硏究槪況(2010~2018)
한국철학논집
2019 .01
朝鮮總督府 編纂 初等敎科書에 表象된 臺灣 ─ <지리> <일본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日本語敎育
2017 .01
臺灣文學韓文翻譯與臺灣硏究在韓國
동아인문학
2015 .03
동양극장 「춘향전」 무대미술에 나타난 관습적 재활용과 독창적 면모에 대한 양면적 고찰 - 1936년 1월~9월 「춘향전」의 공연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2016 .01
‘K-pop 콘텐츠’를 活用한 韓國文化敎育의 實際와 그 意味 -臺灣 內 韓國 文化 關聯 專攻 授業 事例를 中心으로-
동아시아고대학
2019 .01
최근 대만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인식 변화 - 101과강 『선수역사(選修歷史)』와 108과강 『역사(歷史)2』 비교 분석
동북아역사논총
2021 .03
[Taiwan] Waves of Wonder
트래비 Travie
2024 .11
역사 속 인물의 韓中 비교 연구 - 田橫을 중심으로
漢文古典硏究
2015 .01
『향대기람(香臺紀覽)』을 통해 본 일제시대 臺灣의 교통과 숙식 시설
한국한문학연구
2015 .03
일제시기 臺灣 정주 韓人의 인적구성과 직업구조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021 .09
연금술과 연단술의 유사성 연구
동서비교문학저널
2015 .08
냉전 초기(1952-1965) 미국원조와 대만교육 : 農工職業敎育과 華僑敎育을 중심으로
중국근현대사연구
2015 .06
중국 애국주의 애니메이션의 시초와 특징 - <보련등>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
2024 .09
전승된 야만, 실존의 공간 ?17세기 여행기 《裨海紀遊》 속의 臺灣
중국문학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