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I. 들어가는 말 : 일반적인 선서와 도교권선서
Ⅱ. 도교권선서의 의미와 시대배경
Ⅲ. 징악성 도교권선서로서의 『玉歷鈔傳』
Ⅳ.『玉歷鈔傳』에 나타나는 징악성의 사례
V. 맺는 말 ; 『玉歷鈔傳』의 영향
참고문헌
中文摘要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猒髑’과 異次頓의 字意에 대한 재검토
민족문화
2024 .07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출판 60주년] 평범한 악(惡)에 관한 비범한 이야기
지식의 지평
2023 .05
양명심학과의 비교를 통해 본 기대승의 수양론
유학연구
2017 .01
退溪・高峯・栗谷에 있어 七情의 ‘惡해짐’에 대한 理氣論的 해석 - ‘理弱氣强’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문화
2022 .07
한자어 ‘악(惡)’의 의미와 사용 분석
어문론집
2018 .06
New Analysis ofWang Yangming’s Four Dicta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17 .02
권력으로서 악과 정의실현의 연대 - 드라마 〈괴물〉(jtbc)을 중심으로 -
어문론집
2022 .09
唐·宋·元의 律典에 具顯된 謀大逆罪의 構成要件과 刑罰體系 : 『唐律疏議』, 「名例律」 「十惡條」·「賊盜律」 「謀反大逆條」의 規定內容을 중심으로
역사와 세계
2018 .06
趙善作 小說에 나타난 嫌惡와 情動의 문제 –1970년대 作品을 中心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2020 .01
바름과 그름 ― 《三言》의 ‘改行遷惡’ 인물 연구
중국소설논총
2015 .01
순자의 ‘악(惡)’ 개념과 악인(惡人)에 관한 연구
온지논총
2017 .01
<옥황기>의 천명과 권선징악에 나타난 작가의식
한국문학과 예술
2017 .03
통속 윤리의 시대, 유교 사회의 분화 ? 최성환의 권선서(勸善書) 출판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21 .01
중국 인터넷 장편소설 『악마법칙惡魔法則』에 나타나는 신체 변형과 그 의미
중어중문학
2016 .06
坪浦論爭의 근본 문제
영남학
2018 .01
군주를 위한 경학 — 『월사집』 소재 〈서연강의〉의 『논어』·『맹자』 강론에 대한 검토
국학연구
2022 .07
순자(荀子)와 샤를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의 ‘성악론’에 대한 비교 연구 ― 순자 와 악의 꽃 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24 .05
재회에서 시왕의 기능과 의미
남도민속연구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