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미국의 패권 약화와 유라시아 시대의 도래
Ⅱ. 유라시아 시대의 도래: 합종연횡의 유라시아
Ⅲ. 미국의 ‘신실크로드’ 전략의 배경과 주요 내용
Ⅳ. 신실크로드 전략 구상과 현황 평가 및 발전 전망
Ⅴ. 중러 대 미일 대립구조의 고착화
Ⅵ. 맺음말: 유라시아 신냉전 시대의 부상과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1세기 중러 관계의 발전요인에 대한 분석
아세아연구
2016 .06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구상과 정치 · 경제적 함의 :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축을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
2015 .06
The New Silk Road and Russia’s Pivot to Asia
Global Asia
2015 .09
The Silk Road : Old and New
Global Asia
2015 .09
중국 일대일로 전략의 정치적 의도와 실제 분석
대한정치학회보
2017 .01
China"s New Silk Road : Policies and Implications
Journal of International Logistics and Trade
2015 .08
THE EURASIAN CORRIDOR THROUGH THE NEW SILK ROAD: DIFFERING GEOPOLITICAL PERCEPTIONS
Acta Via Serica
2016 .12
일대일로(一帶一路) 프로젝트 추진 배경 및 주요 난제에 관한 연구
대한정치학회보
2015 .01
중국의 ‘일대일로’ 추진현황과 발전방안
무역연구
2018 .01
“Silk Road” as foreign policy discourse: The construction of Chinese, Japanese and Korean engagement strategies in Central Asia
Journal of Eurasian Studies
2018 .01
Silver Road Meets Silk Road: Insights about Mexico’s Insertion into Silk Road Dynamics
Acta Via Serica
2018 .12
중국 `일대일로(一帶一路)` 에 대한 전망 분석 :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
2015 .12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시사점
무역연구
2018 .01
유라시아 지역에서 러시아와 중국의 협력과 대립 가능성: 러시아 확대 유라시아 구상과 중국 일대일로를 중심으로
러시아연구
2019 .01
Between Russia and China: Central Asia in Greater Eurasia
Journal of Eurasian Studies
2021 .02
중국 디지털 실크로드의 아세안 확장과 동인(動因)분석
국제정치연구
2021 .09
一帶一路 -海洋실크로드의 政治經濟的 含意-
중국지역연구
2015 .05
일대일로 건설의 현실과 과제
기업과혁신연구
2021 .03
탈냉전 이후 위협에 대한 인식 변화와 미?중?러 삼각관계: 한국에 주는 함의
국제지역연구
2022 .06
IP Silk Road 2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6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