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소련의 대일전 수행
3. 소련군의 북한진주와 조치
4. 광복에 대한 소련 · 러시아의 평가
5.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분단초기(1945-1967) 북한 고등교육에서의 소련 제도의 전이와 변용
교육사회학연구
2017 .01
소련 몰락 이후 소련과 동구권의 사회-경제적 형태에 관한 포스트-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자들의 논의들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9 .05
해방 후 북한의 소련군과 북한 주민의 루소포비아, 1945-1950
중소연구
2023 .08
6·25전쟁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과정에서의 러시아의 역할과 예외주의적 강대국주의
중소연구
2023 .08
러시아의 동진(東進)전략과 대한반도 정책 연구: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국제 전략환경의 변화를 배경으로
세계지역연구논총
2015 .01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러 관계와 한국의 대러정책 지향
국방연구
2018 .01
Recent Development of Russia – Japan Economic Relations and Implications for Korea
[KIEP] World Economy Brief
2018 .01
Geopolitical Motivations behind Russia’s Active Engagement with Nor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2019 .01
Russian Policy towards the Korean Unif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2015 .01
미국과 중국의 동북아 정책 분석 : 역사와 현재 국제 현상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2025 .03
러시아 對한반도 외교정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VICS 기법을 통한 러시아 외교결정자 운영코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 시베리아연구
2023 .03
2차대전 종결 전후 뤼순(旅順)·다롄(大連)의 특수지위와 중소관계
아세아연구
2019 .03
북한에서 소련형 대학 모델의 이식과 희석화
아시아리뷰
2017 .08
식민지시대 소비에트총영사관 통역 김동한의 「로서아 방랑기」연구
중소연구
2016 .11
제2차 세계대전기 소련의 대일전 참가를 둘러싼 미 · 소 군사협력 : 무기대여법과 ‘훌라 프로젝트(Project Hula)’의 역할을 중심으로
군사
2017 .12
월츠의 세 가지 이미지와 한반도 분단의 원인에 관한 연구 : 탈냉전 이후 해제문헌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국제정치논총
2015 .06
소련의 중동전쟁 참전 양상 고찰
계간 외교
2021 .04
해방 직후 서울 주재 소련 총영사관 처리를 둘러싼 법적 쟁점
서울국제법연구
2023 .06
Foreign Policy Goals of Russia’s Increasing Intervention in Overseas Crises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2016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