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임진왜란 초기 고성지역의 상황
3.『雙忠錄』과『雙忠實紀』검토 및 분석
4. 고성지역 의병의 조직과 전투
5. 정유재란과 고성왜성
6.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 정부의 임진왜란 대응 및 역할
국가정책연구
2020 .01
임진왜란 연구의 회고와 제안
군사
2016 .09
언어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한 중등학교 지리 교과서의 지리정보체계(GIS) 내용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22 .08
A Study on Geographical Indication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aw
2024 .08
Celebrity Death, Media Events and Civil Religiosity : An Interpretive Media Sociology of the Suicide of Choi Jin-sil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2016 .12
「산당서객전(山堂書客傳)」을 통해 본 산당(山堂) 최충성(崔忠成)의 자기 인식
호남학
2019 .01
The Effect of Korean Domestic Politics on the Negotiations Surrounding the Withdrawal of US Troops from the Korean Peninsula in 1970-71
JIAS
2023 .06
壬辰倭亂 初期 靑陽地域 義兵 蜂起와 活動
충청문화연구
2016 .06
최충헌 정권의 전개 과정에서 나타난 무신집권기 정치세력의 특징
한국학논총
2021 .01
다중 센싱 패러다임을 통한 참여형 GIS 정보의 획득 및 활용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015 .04
Analysis of GIS Research Trends in the U.S. with AAG Conference Presentations from 2000-2019
국토지리학회지
2019 .12
『징비록』에 기록된 임진왜란의 성패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3 .11
왜 : 팩츄얼드라마 〈임진왜란1592〉 제작기 & 영화 귀선(鬼船)에 대하여
방송문화
2017 .09
한말 청양인의 의병투쟁
충청문화연구
2016 .06
조선풍토기(朝鮮風土記)의 증보와 성격 변화 -1942・43년판에 증보된 임진왜란 기사를 중심으로-
일본언어문화
2020 .01
[이달의 책] 다양성을 갖춘 조직만이 살아남는다
한경ESG
2022 .11
소매점 볼런터리 체인 활성화의 선행요인과 결과
유통과학연구
2016 .01
BIM과 GIS 통합연구의 경향과 한계점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2019 .08
보수주의자들의 저술에서 박정희는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 모순적 프레이밍의 정치동학과 박정희
현대정치연구
2021 .12
1963년 한국 대통령 선거의 지형과 미국의 시각
인문사회 21
2022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