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재석 (경북대학교)
저널정보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국어국문학 제171호
발행연도
2015.6
수록면
411 - 446 (3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3.1만세운동 이후 ‘계몽의 극장’을 원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1920년대 식민지조선의 근대극담당자들은 아일랜드극으로 그 가능성을 타진했는데,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눈앞에 두고 있던 아일랜드의 정치적 상황이 큰 계기가 되었다. <찬란한 문>(1921)의 공연 이후, 1920년대 식민지조선에서 아일랜드극은 신파극과 차별되는 근대극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극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찬란한 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아일랜드극의 번역 및 공연이 이루어졌다. 1920년대에 공연된 작품으로는 The Glittering Gate(Lord Dunsany), How He Lied to Her Husband(Bernard Shaw), Harvest(Lennox Robinson), The Gods of the Mountain(Lord Dunsany), Fame and the Poet(Lord Dunsany), In the Shadow of the Glen(J. M. Synge)이 있으며, The Rising of the Moon(Lady Gregory), Riders to the Sea(J. M. Synge)는 번역만 되고 공연이 되지는 못했다.
1920년대 아일랜드극 수용양상을 살펴보면, 식민지조선의 연극담당자들이 아일랜드극의 핵심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했던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것은 아일랜드극의 확산을 기피하는 일제가 공연검열을 엄격하게 적용하였기 때문에 생겨난 파행의 결과이다. 1920년대 식민지조선의 근대극담당자들은 그들이 하고 싶은 아일랜드극을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었으나, 아일랜드극을 소개하려는 의지를 버리지 않았다는 점을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 일제의 공연 검열과 식민지조선 근대극 담당자의 공연 의지가 맞부딪힌 곳에 놓인 작품들이 1920년대에 수용된 작품의 전모인 것이다.
검열이 통제하고 있던 1920년대 식민지조선에서 아일랜드극의 파행적 수용은 피할 수 없었으며, 그러한 상황이 ‘아일랜드 효과’를 만들어내었다. 아일랜드 극작품 공연이라면, 실제 보다 훨씬 더 높은 가치를 무조건 부여하는 현상이 ‘아일랜드 효과’이다. 기본적으로는 아일랜드극을 대하는 식민지조선의 과잉 반응인데, 현재 공연 되고 있는 아일랜드극의 가치를 최대한 높여 평가해주는 관객들의 우호적 지지가 그 배경에 있다. ‘아일랜드 효과’가 지배하는 식민지조선에서는 해당 작품의 원래적 가치와 의미는 크게 중요하지 않았고, 식민지조선이 필요로 하는 의미가 부가되어 해석이 되었다. 여기에서 식민지조선과 일본의 아일랜드극 수용에 있어서 차별성이 생겨나게 되었다.
아일랜드극 공연 과정에서 형성된 ‘아일랜드 효과’가 있어 1920년대 계몽의 극장이 유지될 수 있었다고 말해도 좋겠다. 일제의 검열 앞에서 좌절하기 쉬운 1920년대 연극담당자들을 추동했던 힘이 바로 아일랜드극의 공연경험에서 얻어진 것이다. 토월회의 <아리랑고개>는 1920년대 식민지조선에서 이루어진 아일랜드극 수용의 백미로 평가해야 한다. 식민지조선의 모순을 정확히 지적하여 공연되지 못할 작품보다, 모자람이 있더라도 검열 통과가 가능하면서 관객의 자발성을 이끌어낼 여지가 많은 작품을 창작하고 공연함으로써 ‘계몽의 극장’을 지켜낸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검열 하 식민지조선 근대극의 계몽 지향과 던세니
3. 이상적 아일랜드극의 번역과 공연 시도의 좌절
4. 토월회의 아비극장 지향과 전통적 소재의 창작극
5. ‘아일랜드 효과’와 식민지조선의 근대극 - 결론을 겸하여
참고문헌

참고문헌 (3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810-001707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