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오태석 (동국대)
저널정보
한중인문학포럼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4년 중국 인문학자 초청 인문학포럼 기념논문집
발행연도
2014.12
수록면
143 - 186 (4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mainly describes two points on Laozi"s text: one is distinguished achievement of his denial(否定) and in-existing(內外竝存) transcendence(超越) writing style, the other is Laozi"s peculiar perspective of ambivalence to the truth of the universe. I think Laozi and Zhuangzi may presuppose that there are mutual interactions between essential world and the phenomenal world. In Zhuangzi’s aspect, Inshi(因是) could be transferred into material incarnation(物化) based on the fable of butterfly"s dream(蝴蝶夢). Laozi also considers that ‘arising-together’(竝作) and ‘embracing to oneness’(抱一) are based on the aspects of ambiv alent perspectiv e of t he world. As a r esult, L aozi e mphasizes that i ntertextuality between binary oppositions, same as being and nothing, good and evil, haps and mishaps and so on. We can say that Laozi maintained distinctive perspective of ambivalence to all over the things in the world. We could say his thoughts still has a meaningful influence to the Eastern and Western culture, philosophy, ethics, politics, and aesthetics.

목차

1. 노자 도덕경의 글쓰기와 사유 지향
2. 노자 텍스트의 언술 방식: 부정·역설·초월의 글쓰기
3. 노자 기호 체계의 상호텍스트적 양가성
4. ‘有物混成’과 ‘天地不仁’의 物學 사유
5. 노자, 동아시아적 진리 탐색의 이정표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800-001487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