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장서각에 군영자료가 보존된 경위
Ⅲ. 장서각 군영자료의 특성
Ⅳ. 장서각 군영자료의 가치
Ⅴ. 맺음말-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장서각 소장 군영 자료로 본 조선 후기 삼군영의 군사 복식 보급
장서각
2019 .10
『壯勇營大節目』의 구성과 자료적 가치 검토
동양고전연구
2020 .01
조선후기 전술변화와 중앙 군영의 편제 추이
군사연구
2017 .0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의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동양학
2021 .01
장서각도서의 성립 과정과 전래 경위
장서각
2021 .10
『訓局謄錄』 인조~영조 대 上言에 대한 연구
장서각
2015 .04
訓鍊都監 설립 시 柳成龍의 역할과 운영 양상 ― 선조와 광해군조를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
2022 .12
중앙 軍營과 지방군을 통해 본 조선 후기 국방체제의 변화 양상
장서각
2015 .0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 사업의 전개와 성과
장서각
2021 .10
조선 숙종대 경기지역 군사체제의 정비
군사연구
2017 .01
조선후기 정조대 무과(武科)에 관한 연구
동양고전연구
2016 .12
조선 후기 중앙 군영대장 인사의 특성
사림
2021 .10
등록류(謄錄類)로 살펴본 조선후기 불교사료 검토: 『學校謄錄』 등 일부 사례를 중심으로
불교학보
2021 .06
17~18세기 도감의 고가(雇價) 마련과 군문재원(軍門財源)의 활용
역사와현실
2017 .03
조선후기 중앙군제의 운영과 숙종대 양반충군론
군사연구
2016 .01
An Overview and Characteristic of Jangseogak Owned Yuseoryu
장서각
2016 .04
[총론] 조선후기 중앙 군문의 재정운영
역사와현실
2016 .12
조선시대의 철 생산체제
한국중세고고학
2021 .06
북한산성 승영사찰의 공간 배치와 특징 연구
백산학보
2019 .01
장서각 소장 先生案의 현황과 사료적 가치
동양고전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