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인용의 ‘-대(요)’류의 통사?의미적 특성
3. 인용의 ‘-대(요)’류의 용법
4. 인용의 ‘-대(요)’류의 유형별 특성
5.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wo Types of -yo : Agreemental and Concordial
언어
2023 .09
북부 베트남 소수종족의 지방사와 종족정체성: 호아빙(Hoa Binh)성 마이쩌우(Mai Chau)현 따이(Tay)족 마을의 사례
동아연구
2017 .08
강기화 동시집 『멋진 하나』 동시YO 2021 : ‘다름’에서 생긴 일
창비어린이
2022 .03
Remarks on –yo Attachment in Right Dislocation in Korean
현대문법연구
2016 .01
복합 종결어미 ‘ - 기는(요)’의 의미와 담화 기능
언어학연구
2016 .01
주요한 시에 나타난 ‘생명’ 인식과 ‘자아’ 탐색 양상 - 다이쇼 생명주의 체험과 역사적 주체의 탄생 -
일어일문학연구
2019 .01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문형 종결어미 ‘-(으)ㄴ가요’와 ‘-나요’의 사용 실태 연구 -인터넷 질문 · 답변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19 .09
사건으로서의 ‘3·1운동’과 주요한 시의 변모 - 한국 근대시와 정치의 첫 번째 만남
한국시학연구
2019 .08
인공지능의 개념 소유에 관한 고찰
철학논총
2021 .10
구어에서 양태 어미 ‘-을까(요)’의 실현 양상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2021 .01
문법 항목 설명에 관한 원형 이론적 접근- ‘-을게(요)’를 중심으로 -
언어사실과 관점
2021 .01
한국어 사전에서의 뜻풀이 개선을 위한 종결어미 ‘-던데(요)’ 연구 - 새연세말뭉치4를 활용하여 -
언어사실과 관점
2024 .02
언어 표출형식에 따른 「ようだ · みたいだ」의 구별적 사용 양상
일어일문학
2025 .02
주요한(朱耀翰) 시조에 나타난 모더니티
한국사상과 문화
2019 .01
The Leave-Taking View of Kkunhe(yo) ‘Hang Up’ in Korean Telephone Call Conversations
담화와인지
2019 .02
La unión con la naturaleza en 『Platero y yo』
동서비교문학저널
2018 .12
소설 『82년생 김지영』의 번역에서 나타난 젠더 표현 양상에 대한 고찰 - 여성문말표현을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20 .01
Speech Acts of Kkunhta ‘Hang Up’ in Korean Telephone Conversation Closings
현대문법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