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서경 (경북대학교)
저널정보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동서사상 동서사상 제6집
발행연도
2009.2
수록면
21 - 44 (2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자유’란 무엇인가? 현재 우리사회는 정치권력으로부터 법적인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는 의미의 자유는 획득되었으나 사람들은 여전히 자유를 원하고 있다. 그렇다면 인간은 어떻게 진정으로 자유로울 수 있을까?
본 논문에서는 『장자』라는 고전을 통하여 기존의 우리 사회에서 찾을 수 없었던 새로운 의미의 자유와 그러한 자유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먼저 동양에서 ‘자유’의 의미에 해당하는 다양한 용어와 번역어 ‘자유’와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서양 문화에 있어서 자유의 어원과 자유에 대한 철학적 의미 및 근대 자유주의에서 말하는 자유의 의미를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이처럼 동서양의 다양한 자유의 의미를 알아본 것은 장자가 제시하는 자유의 의미를 본격적으로 논하기 전에 자유의 다양한 의미를 제시하여 장자가 말하는 자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장자는 ‘자유’라는 용어를 대신하여 ‘소요유(逍遙遊)’, ‘화(化)’, ‘자연(自然)’, ‘무위(無爲)’, ‘도(道)’로써 자유를 설명한다. 이러한 장자의 자유를 ‘절대 정신의 자유 경지’라고 하는데, 이렇게 표현하는 이유는 그의 자유가 일체의 논리적 제약으로부터 벗어나 모든 대립과 차별이 해소되고 만물과 화해를 이룬 경지로서 순수하게 정신상에서 구현되기 때문이다.
인간이 이러한 자유에 이를 수 없는 이유는 첫째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실존 상황, 둘째 ‘외물(外物)’을 쫓는 본성, 셋째 인식의 상대성으로 인한 편협한 지식과 이로 인한 속박, 마지막으로 사회제도에 의한 구속으로 인한 괴로움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부자유의 원인을 해소하고 자유에 이르는 방법을 「제물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제물론」에서는 자유 경지에 이르는 방법으로써 ‘이명(以明)’과 ‘인시(因是)’의 관점, ‘도추(道樞)’, ‘환중(環中)’으로 보는 ‘양행(兩行)’의 관점을 제시한다. 인간이 이러한 관점을 체득하게 되면, 정신적인 자유 경지인 ‘물화(物化)’에 이를 수 있다. 이는 장자의 궁극적 이상(理想)으로서, 인간이 ‘도(道)’와 합일된 경지이다. ‘도(道)’란 장자의 이상적인 정신으로서 ‘도’가 세계의 모든 사태에 작용한 것이 ‘자연(自然)’이며 인간이 ‘도(道)’에 따르는 행위가 ‘무위(無爲)’이고 도(道)와 합일된 이상적 자유경지의 표현이 ‘소요(逍遙)’이다.
요컨대 장자는 ‘자유’라는 용어는 쓰지 않았으나, ‘도’, ‘자연’, ‘무위’, ‘소요’ 등으로 그의 절대적 자유 경지를 설명하고 있으며, 이 경지는 서양적인 의미의 외부적 조건을 확보하는 자유와는 달리 순수하게 정신상에서 구현되는 자유이다. 이러한 장자적 자유는 오늘날 자유를 확보하기 위해 시비 분쟁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현대인들에게 부자유한 현실을 전체적 관점에서 관조하고 편안하게 대처하게 함으로써 ‘정신상의 절대적 자유 경지’라는 새로운 자유의 세계를 제시해 줄 것이다.

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Ⅱ. ‘자유’ 개념과 동서양 그 의미의 유래와 변천
Ⅲ. ‘자연(自然)’과 필연(命)의 합일로서의 자유
Ⅳ. 『장자』 속의 부자유의 원인들
Ⅴ. 절대적 자유에 도달하기 위한 수양법
Ⅵ.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