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오장환 시인의 공간 인식을 ‘닫힌 공간’과 ‘열린 공간’으로 구분하여 규정하고, 이러한 공간적 구분이 그의 시적 의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한다. 오장환의 시에서 ‘닫힌 공간’의 이미지로 나타나는 곳은 주로 ‘집ㆍ가족ㆍ가문’, 나아가 ‘전통’이다. 이는 주로 부정적이고 타파되어야 할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으며, 정체성의 혼란을 넘어 명백한 거부의식으로 표출된다. 시인의 시에서 집에서의 ‘탈출의지’가 강하게 드러나고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오장환 시의 화자는 ‘닫힌 공간’에서 탈출하여 ‘열린 공간’으로 나아오게 된다. 시의 화자가 이르게 된 곳은 주로 해항도시이고, 특히 그 속 배경으로 많이 사용된 제재가 바로 ‘항구’와 ‘역’이다. ‘항구’는 바다로 난 육지의 문이고 ‘역’은 도시와 도시를 연결해 주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문을 통하여 시인은 기존에 겪지 못했던 새로운 체험을 하게 된다. 하지만 오장환의 시에서 나타난 항구의 모습은 퇴폐적인 식민사회의 면면을 집약해 놓은 모습이다. 이는 시인이 묘사해 놓은 항구도시의 모습들이 희망이 없고 음습한 분위기로 그려진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더구나 화자가 처하는 공간은 다른 곳으로 가기 위한 ‘문’의 역할을 하는 곳이지만, 다른 공간으로 향하려는 의지를 보여 주지 않는다. 즉, 열린 공간으로 여겨졌던 대상도 결국은 외부로 나아가지 못하는 왜곡된 공간이었던 것이다. 화자는 그 공간에 머물면서 좌절과 비애를 경험하고, 유랑민으로서의 삶을 영위하면서 분열에 이르게 되는 양상을 보여 준다. 전통에 대한 거부와 자유를 향한 열망을 품었던 오장환은 이렇듯 근대 문명의 양면성 앞에서 좌절과 실망을 갖게 된 것이다. 이렇게 청춘도 추억도 절망과 좌절로 인식된 비애의식은 자연히 ‘자기파탄’과 ‘죽음’의 탐색에 이를 수밖에 없다. 결국 왜곡된 개방 공간을 체험하는 과정에서 미래의 전망까지 상실하게 된 화자는 새로운 ‘고향’으로서의 모색이 필요하게 된다. 어떤 공간에서도 시인이 원하는 진정한 의미의 ‘열림’이나 ‘개방’은 존재하지 않았고, 또 다른 공간으로의 탐색으로 행보를 전개해 나간다. 치열한 삶의 고찰이나 이데올로기적 지향이 있었다기보다는 끝없는 탐색의 결과로 그의 지난한 시적 여정이 전개된 것임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nables us to reveal appropriate distinctions between open-space and closed-space issues in the poetry of Oh Jang-hwan by depicting some certain changes in the space aspects.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such specific social phenomenons, more known as institutions of “House” and “Family” are shown as a closed-space in the poetry of Oh Jang-hwan, being, likewise, a traditional subject. Besides, this contains the idea and image of destruction as well as confusion in self-identity. The poet of Oh Jang-hwan is attempting in his poems to disclose an aspiration of an individual to escape from the “House” (leaving a closed-space). Narrator, as described in the poems, is making hard efforts to get rid of the closed-space fleeing in the direction of open-space. However, in most cases, a place where narrator is on the way of proceeding is a sea-port city, a background of which are, mainly, “sea port” and “station”. This sea port is exhibited in the form of a “door to the land”, whereas “station” is regarded to be a connecting link between the city and road. Passing through this “door” the poet reaches some places he had never been to, by having specific experiences, as given below. In the meantime, it is quite possible to observe in the poetry of Oh Jang-hwan a scene of the port as a collapse of colonial society. The poet is trying to demonstrate hopeless state of the sea port. Particularly, in the connection of a distortion of the closed-space narrator’s all efforts that are based on the attempts to pass on the open-space, are deeply unsuccessful. As a result of this fact, narrator is feeling a sense of great despondency and sorrow as experiencing a life of “homeless one”. A wish to be exempt from a conservatism causes a sense of disappointment from the century of newly civilization. Likewise, narrator, as given in the poems of Oh Jang-hwan, is experiencing some sense of profound grief, self-torture, being in permanent search for the death that leads to a status of forfeiting the youth. Ultimately, it becomes quite necessary for the narrator to commence actions of looking for the new “fatherland”, as in the process of making attempts to be released from the distorted space he loses appropriate hopes, plans and relevant dreams for future. As poet is trying to deliver to a reader, getting free from the closed-space is demonstrated as unfeasible, notwithstanding this fact any efforts to search for the different space are highly necessary. The output of infinite quest for the ideology and study of the hard life allowed us to comprehend a challenging lyrical route of narrator, as shown in the poems of the po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