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이동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황의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송미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정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홍준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영단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광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선배 (산업연구원) 홍진기 (산업연구원) 정강환 (배재대학교) 박천수 (직업능력개발원)
저널정보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기본연구보고-R606] 경제·생활권 광역화에 따른 농어촌 경제 활성화 방안 (2-2차연도)
발행연도
2010.10
수록면
1 - 274 (27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how to stimulate the rural economy under the current mega-regionalization of economy and lifestyle in rural areas. We have five specific research topics in this study. First, we will investigate the existing state of mega-regionalization in rural areas. Second, we will analyze a positive (or negative) impact of mega-regionalization depending on rural areas" conditions. Third, we will examine case studies relating mega-regionalization and derive political implications. Fourth, we will analyze Korean governmental policies relating megaregionalization. Last, we will derive how to revitalize rural areas under the context of mega-regionalization. The findings of these research topics are provided as the following.
First, an investigation of the existing state of mega-regionalization in rural areas led us to a conclusion that rural areas need to adopt regional development plan depending on their geographic and economic situations.
Second, agro-food nurturing policies need to include two facets: differentiation and cooperation. Differentiation is to focus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yielded in a small area. Cooperation is to develop mega-region"s brand through which neighboring areas should cooperate with.
Third, it is required to revise industry-location policies in rural areas.
A future agro-engineering complex needs to connect diverse industry complexes over rural areas in order to foster regional industry.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a regional development plan to revitalize rural areas such as a revised blanket subsidies and a so-called rural areas" industry development plan to reflect regional conditions.

목차

[표지]
[머리말]
[요약]
[ABSTRACT]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4. 선행 연구 검토
5. 연구 추진 체계
[제2장 경제 · 생활권 광역화와 농어촌지역의 대응 과제]
1. 농어촌을 둘러싼 국내외 여건 변화
2. 경제 · 생활권의 광역화 실태
3. 사례지역 분석: 광역화 현상의 지역 유형별 차이
4. 농어촌 고용 전망과 지역산업 정책 여건 변화
5. 농어촌 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응 과제
[제3장 농식품산업 육성 정책의 추진 실태와 활성화 전략]
1. 농식품산업 활성화의 중요성
2. 농식품산업 활성화 정책 추진 현황
3. 농식품산업 활성화 정책의 문제점
4. 농식품산업 활성화 전략
[제4장 농공단지 정책의 추진 실태와 활성화 방안]
1. 농공단지 정책의 배경
2. 농공단지 정책의 추진 실태와 문제점
3. 광역경제권 차원에서의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
[제5장 지역특화산업 정책의 추진 실태와 활성화 방안]
1. 지역특화산업 정책의 배경
2. 지역특화산업 정책의 추진 실태와 문제점
3. 지역특화산업의 발전 방안
[제6장 농어촌 지역축제 관련 정책의 실태와 발전 방안]
1. 농어촌 지역축제의 중요성
2. 농어촌 지역축제 육성 정책의 실태와 문제점
3. 농어촌 지역축제의 발전 방안
[제7장 농어촌지역 자족기반 실태와 확충 전략]
1. 농어촌지역 자족기반의 의미
2. 통계자료로 살펴본 농어촌의 자족기반 실태와 과제
3. 농어촌 자족기반 확충 사례와 시사점
4. 농어촌지역 자족기반 확충 전략
[제8장 농어촌 경제 활성화 방향과 정책 과제]
1. 농어촌 경제 활성화의 전제 조건
2. 농어촌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의 기본 방향
3. 농어촌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
[부록]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