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한국 청소년의 삶과 생명을 파괴하는 청소년 문화의 반생명적 특징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며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사역의 핵심이었던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생명문화가 무엇인지 몰트만(J. Moltmann)의 신학에 근거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생명문화란 하나님이 생명의 창조자요 생명의 원천임을 인정하는 문화이며, 생명존중의 문화이고, 삶을 긍정하고 삶의 기쁨을 주는 문화이며, 사랑과 사귐의 문화요 나눔의 문화이며, 그리고 정의와 평화의 문화이다. 둘째, 생명문화의 관점에서 청소년 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먼저 청소년의 문화환경을 살펴보고 반생명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무신적 세계관, 생명경시, 허구성, 폭력성, 공동체성의 약화와 개인주의, 배금주의, 선정성 등이다. 셋째, 이런 반생명적 청소년 문화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삶의 의미와 희망을 주는 교육, 타인과 세계의 생명에 대한 존중과 책임의식고취, 사귐의 문화와 코이노니아 공동체 형성, 정의와 평화의 공동체를 위한 대안을 찾는 교육, 그리고 창조세계에 대한 교육이 요청된다. 넷째, 이런 과제 달성을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 새로운 영웅상의 정립을 위한 노력, 교회의 생명문화교실, 뉴미디어의 적극적 활용, 멘토링의 확산, 생명문화기구를 위한 학교기구 만들기 생명문화 확산을 위한 수준 높은 매체 개발, 그리고 청소년 쉼터만들기 등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is to point out the characteristics of life-threatening culture of Korean teenagers and to propose the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for overcoming it. It has four parts to be dealt with it. Firstly, the issue of life culture and its features are dealt with on the basis of Moltmann"s 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God"s kingdom, which is the core of Jesus Christ"s life and ministry. Life culture is to recognize the fact thatGod alone is life"s creator and source. It is the culture consisting of life respect, of life loving and joy giving, of love, koinonia and sharing and of justice and peace. Secondly, the cultural environment of teenag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ife-threatening culture are analyzed to estimate their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culture. They are the atheistic world view, disregard for life, and trend of violence, extreme individualism, weakening community, mammonism, illusion and provocative style, etc. Thirdly, it is proposed as to what the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to overcome the life-threatening teenagers" culture mentioned above are. They are the variety of the learning for meaningful life and hope, the respect and responsibilities for the others and the world"s life, the culture of sharing and koinonia, the alternative education for the community with justice and peace and finally the new education for creation world. Fourthly, the practical ways of such tasks are proposed as follows: they are exploring new models to imitate, opening and running the classes of life culture in church, exploring and using new and creative media, extending mentoring systems, schooling and developing the extension of life culture and providing shelters for teenagers in n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