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주다’, ‘드리다’ ‘달다’의 의미적 특징
3. ‘주다’, ‘드리다’ ‘달다’의 문법화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주다의 문법
한글
1979 .12
동사 ‘주다’, ‘받다’의 의미 확장과 의미 대응 양상
담화와인지
2018 .02
동사 `주다`의 3가지 용법
한글
1989 .03
문법화의 틀에서 보는 보조동사구문
담화와인지
1996 .06
한국어 상 보조용언 ‘가다’와 ‘오다’의 문법화 연구 : 문법화 정도를 중심으로
담화와인지
2018 .11
Grammaticalization of motion verbs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06 .06
한국어 동사의 문법화에 대하여 -조사화와 어미화를 함께 일으키는 동사 중심으로-
담화와인지
2020 .02
한국어 '-어 주다' 구문에 대한 연구
언어학
1995 .12
한국어 사슬동사의 몇 가지 특성
언어
1996 .12
漢韓幾個常用動詞的語法化對比
중국어문학논집
2009 .04
한국어 교육문법에서의 용언 설명에 대한 양상 연구
한글
2011 .06
‘주다’의 의미-기능적 변화 : 담화-전략적 관점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7 .04
동사(動詞) 「가다」의 문법화(文法化)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1984 .12
한국어 준동사의 정체와 그 의미 분류
국제언어문학
2001 .12
동사 be의 위치
새한영어영문학
1999 .11
러시아어 동사 시제의 문법화 과정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05 .11
論粵語句末助詞 「嚟」 的用法及其虛化過程
중국어문학논집
2016 .12
한국어 동사토의 문법 자질과 제약 : ‘미시적’ 설명을 포괄하는 ‘거시적’ 이론 구축을 위한 시론
코기토
2018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