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1. 학계의 동향
2. 오경 안에 있는 자발적 헤렘에 관한 법
3. 신명기에 있는 당위적 헤렘의 법
4. 여호수아 6-7장에 적용된 헤렘법
5. 여호수아 7장과 사도행전 5:1?11의 차이점
6. 아나니아와 삽비라가 드린 예물이 헤렘인가?
7. 제안된 여러 관련 본문들에 대한 평가
8.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아나니아와 삽비라 사건”과 집단명예(행 4:32-5:16)
신약논단
2019 .12
삽비라을 위한 해방의 가능성 : 행 5:1-11
한국여성신학
1999 .12
미래를 위해 나를 개방하라 : 본문 : 여호수아 2:1-14
한국여성신학
2000 .03
아이 성 정복 실패가 진정 아간 때문 만인가? : 여호수아 7장 2-5절에 대한 비평적 분석을 중심으로
구약논단
2012 .12
녯길 렘6:16
신학지남
1925 .07
새로운 삶을 연 라합의 믿음과 결단 : 본문 : 여호수아 2:1-24
한국여성신학
2003 .06
여호수아 3장 본문의 역사 연구 : 마틴 노트와 로버트 폴진 이론의 비판적 고찰
구약논단
2007 .12
사도행전의 결말 해석
신학논단
1993 .10
미메시스 비평으로 살펴본 사도행전의 기적적인 탈출과 사울의 저항 : 사도행전 12:6-10; 16:25-26; 26:14를 중심으로
신약논단
2014 .09
여호수아의 정복전쟁에 대한 역사적 고찰
신학정론
2019 .06
사도행전 6:1-8:4의 ‘갈등’ 모티프 이해 : 스데반 사건을 중심으로
신약논단
2018 .12
사도행전도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 행 1:1-8 연구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2000 .12
여호수아 1:8에 대한 새로운 번역 제언 : 행위냐, 토라냐
성경원문연구
2015 .04
블라디미르 비소츠키의 “아프리카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나” 연구-스베트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아연관 속의 소년들』과 간텍스트성 차원에서-
외국학연구
2017 .01
사도행전 본문 연구 : 서방 사본과의 비교
성경원문연구
1999 .08
사도행전 저작 목적의 토론 상황
신학논단
1996 .06
사도행전의 직분자 연구
신학지남
2013 .09
사도행전의 해석학적 원리(1:4-8)에 나타난 종말론적인 구원의 우주보편주의와 민족주의의 갈등과 그 해소
신약논단
2017 .12
사도행전의 선교지평
신학지남
2011 .06
Intertextuality: Lost (and Found) in Translation
성경원문연구
2007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