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연구사
3. 서방 사본의 특징들과 평가
4. 결론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요한복음에 있어서 Πa그룹의 선별된 사본들간의 본문적 연관성에 관한 연구
신약논단
2000 .04
사도행전도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 행 1:1-8 연구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2000 .12
사도행전에서 본 교회와 선교
미션인사이트
2013 .07
미국, 서방 그리고 그밖의 세계
시대와민중신학
2002 .07
사도행전 저자의 바울상
신학연구
1979 .12
시편 본문비평에 있어서 70인역과 쿰란 사본의 위치와 가치
성경원문연구
1998 .08
사도행전에 나타난 구원 신학의 전개
복음과 실천
2015 .09
사도행전의 결말 해석
신학논단
1993 .10
미메시스 비평으로 살펴본 사도행전의 기적적인 탈출과 사울의 저항 : 사도행전 12:6-10; 16:25-26; 26:14를 중심으로
신약논단
2014 .09
사해사본과 구약본문 및 정경
신학지남
1965 .07
서사(敍事)적 본문을 서사적으로 설교하기 : 사도행전의 여행 서사 본문을 중심으로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2009 .03
사도행전의 끝맺음에(행 28:30-31) 나타난 누가의 의도
신학지남
1999 .12
교회성장과 성령의 역사 -사도행전을 중심으로-
신학지남
1976 .06
사도행전에 나타난 성령과 화해의 일치
성서학 학술세미나
2007 .05
최근의 불교학 연구동향으로 본 인도 필사본 연구의 중요성
인도철학
2014 .01
신약 주해 사도행전
신학지남
1970 .12
한국교회의 선교적 사명(사도행전 16:6~10)
신학지남
1970 .06
구운몽의 「을사본」에 대하여
어문학
1972 .03
사도행전에 나타난 예루살렘회의 (15:1-35)의 신학적 의미와 기능
복음과 실천
2016 .09
사도행전 저작 목적의 토론 상황
신학논단
1996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