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공선명 (서강대학교)
저널정보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법과기업연구 법과기업연구 제3권 제1호
발행연도
2013.6
수록면
117 - 151 (35page)
DOI
10.35505/sjlb.2013.06.3.1.11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Workers create their own union to negotiate with employers in a comparable position, and they do the strikes in order to secure the rights to have basic standard of human life in case the negotiations are not amicably formed. The rights of these workers are ensured by the labor’s three primary rights in Article 33 of the Constitution. The labor’s three primary rights have a powerful influence on corporations and the nation, and are closely related to economic aspects of the country.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judicial inclin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ssociated with the labor’s three primary rights. Firstly, the content of the labor’s three primary rights in the Constitution will be reviewed, and then the important court ruling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related to the labor’s three primary rights will be summarized. Based on the summary of the important court decisions, the judicial inclination will be qualitatively analyzed. By evaluating each decision, we will look into which conclusion was made by the Constitutional Court, related to the labor’s three primary rights. By analyzing the judicial inclin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related to the labor’s three primary rights according to the statistics, we will examine quantitatively the judicial inclin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t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judicial inclin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t turns out that the important court ruling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related to the labor’s three primary rights tend to take the judicial restraint. The research in the quantitative way also has the tendency of the judicial restraint. It is expected that the studies in the field and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come for the sake of both owners and workers.

목차

Ⅰ. 서론
Ⅱ. 근로 3권의 내용
Ⅲ. 근로 3권 관련 주요 판결문 성향 분석
Ⅳ. 통계에 의한 헌법재판소의 근로 3권 관련 판결문 성향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2)

  • 대법원 2007. 3. 29. 선고 2006도9307 판결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10. 4. 29. 선고 2009헌바168 전원재판부

    가. 형법상 업무방해죄의 보호법익, 같이 규정된 다른 행위태양인 `허위사실의 유포’나 `위계’ 그리고 이 사건 법률조항과 함께 같은 장에 규정되어 있는 신용훼손죄나 경매방해죄의 해석, 그 외 형사법상의 폭력, 폭행, 협박 등의 개념과 관련지어 볼 때 일반적으로 `위력’이라 함은 사람의 의사의 자유를 제압, 혼란케 할 만한 일체의 세력을 의

    자세히 보기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300-003276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