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一. 序論(統一의 意味)
二. 하나의 國家로서의 韓國
三. 分斷 以後
四. 두 韓國의 統一戰略
五. 왜 統一하는가?
六. 戰略的 考慮에 대한 評價
七. 結論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韓國統一의 意義와 諸問題
공산권연구총서
1972 .05
美國의 國際敎育
[KEDI] 한국교육
1991 .10
韓國의 中立化와 統一
공산권연구총서
1972 .05
國軍의 正統性을 論함
군사
1990 .12
韓國의 國際法 實行
서울국제법연구
2004 .06
中ㆍ소對立關係의 展開와 그것이 韓國統一에 미치는 영향
국제정치논총
1971 .12
行政改革과 管理革新에 관한 比較硏究 : 韓國과 美國을 中心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1995 .01
韓國의 學術誌와 그 문제점
관훈저널
1979 .12
통계국
[KIEP] 격월간 OECD Focus
2002 .04
통계국
[KIEP] 격월간 OECD Focus
2002 .08
통계국
[KIEP] 격월간 OECD Focus
2002 .06
國際經濟의 展望과 韓國經濟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논문집
1977 .12
韓國 國際私法의 回顧와 展望
국제사법연구
1995 .12
韓國 國際私法의 最近 動向
국제사법연구
1998 .05
韓國, 베트남 그리고 아시아에서의 美國의 역할
관훈저널
1990 .07
韓國統一에 관련된 몇가지 國際法的 問題
국제법학회논총
1988 .12
한국(韓國)의 국제법(國際法) 실행(實行)
서울국제법연구
2010 .06
한국(韓國)의 국제법(國際法) 실행(實行)
서울국제법연구
2008 .12
한국(韓國)의 국제법(國際法) 실행(實行)
서울국제법연구
200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