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리뷰에서는 훈련 및 육성과정, 경기수행과정에서 최대화된 운동능력의 발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하는 경기력 결정요인, 잠재적 능력, 체격 및 체력, 심리적 접근, 팀웤 강화, 기술향상, 제한요인 극복, 새로운 트레이닝 개발 등에 대해서 살펴본다. 종목별 경기력의 결정요인에는 체격 요인, 체력적 요인, 정신적 요인, 환경적 요인 및 주변 요인 등을 포함하게 되며 상호간의 효과적인 전이과정을 통해서 운동능력의 향상을 나타내게 된다. 우수선수 발굴,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분석 등이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도움을 주며, 훈련 및 경기수행과정에서는 우수선수의 심리적 특성을 분석하고 정신력강화 및 심리상태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과 스포츠 과학적 접근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팀웤 강화를 위해서 팀 응집력과 지도자의 리드쉽이 강조되며, 기술적 요인의 향상을 위한 정확한 장?단점 파악, 동작오류의 수정, 우수한 기술 모델링의 제시 등을 위한 역학적 분석의 시도, 기술숙달을 위한 생체지표에 의한 피드백의 적용, 운동학습이론의 활용 등의 광범위한 시도들이 활성화되고 있다. 경기력을 제한하는 요인의 극복과정은 운동성 피로의 대책, 최적의 컨디셔닝 유지, 상해 방지를 위한 의학적 접근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아울러 과학적 주기화의 적용과 함께 새로운 트레이닝 방법 개발을 위한 창의적, 창조적 노력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provide the important factors relation to exercise performance, potential capacity, phyique and fitness, psychological approach, team work, skill, limited factors, and new model of train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exercise performance in training and competition. The dependent factors for exercise performance included the physique, fitness, psychological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s with effective transfer process of these factors. Talent identificati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ew exercise training program, the analysis of training effects should be applied to training and competition for the exercise performance with psychological approach. Team cohesion, leadership, biomechanical analysis and modelling theory for skill upgrade, feedback of biomarkers, and motor learning have been activated in sports scientific approach. Overcoming for limited factors in exercise peerformance have been included the exffective control of exercise induced fatigue, the maintenance of optimal conditioning, the medical approach for injury. In addition, we should try to develop the new training program with scientific period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