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손상은 크게 급성 손상과 과사용 손상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런 손상은 모두 근육 불균형, 관절 약화, 과훈련 상태, 불안정 감정 상태 등의 요인과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팀닥터나 트레이너는 선수를 섬세하게 관찰하여 몸 상태와 위험 인자에 대한 정보를 얻고, 그것을 기초로 손상예방을 위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운동손상에 대한 재활의 첫째 목표는 손상의 예방이다. 이를 위해 시즌 외 컨디셔닝, 시즌 전 신체 검사, 시즌 전 근력, 근지구력, 파워, 민첩성 등에 대한 정보 수집, 영양 관리, 경기장 관리, 맞는 장비 착용 등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두 번째 목표는 가능한 빨리 경기 현장으로 안전하게 복귀하는 것이다. 이것은 선수의 손상에 대한 철저한 평가,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 여러 전문가가 참여하는 통합적인 재활을 통해 가능하다. 손상 선수에 대한 재활은 초기, 중간, 진행, 운동 복귀의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초기 단계에는 연부 조직의 회복과 관절 가동의 유지를 위해 유연성 운동과 관절 가동 운동을 최대한 빨리 시작한다. 일상 동작에서 제한이 없으면 중간 단계로 이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아령, 근력 강화 기계, 밴드 등을 이용해 근력 강화에 주력한다. 후반부에는 스포츠 동작과 관련된 기능성 운동을 실시한다. 유연성, 근력, 지구력을 회복하면 진행 단계로 넘어가는데 이 단계에는 선수의 특정 종목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운동 복귀 여부는 손상 부위에서 통증, 종창, 관절 운동 제한이 없고, 근력, 지구력, 유연성, 고유 위치 감각, 심폐지구력, 운동 기술, 심리적 안정 등을 회복하면 결정한다.
Sports injury is classified into acute injury and overused injury grossly. The majority of sports injury whether acute injury or overused, has the factors related to injury, such as muscle imbalance, weakened joint, overtraining state, unstable emotion, etc. So if a physician or a trainer observes his or her athlete subtlely, the information about conditioning state and risk factors can be gotten and then injury prevented. The first goal in rehabilitation is injury prevention. For this, off-season conditioning, physical examination before participation, preinjury data collection (muscle strength, endurance, power, agility, etc), nutrition, safe environment, equipment, etc, are needed. The second goal is the safe return to the field as soon as possible. This is achieved by a through evaluation, rapid and proper medical treatment, and interdisciplinary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is divided into 4 stages (initial, intermediate, advanced, return to sport) according to athlete's level of function. In initial stage, flexibility and mobilization exercise should be conducted as early as possible to protect soft tissues and keep joint range of motion. When athlete can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the intermediate stage is reached. Strengthening exercises are progressed according to the general principle of overload. The various modes such as free weight, machine, tubing are used and functional exercise should be introduced in this term. When the advanced stage is reached, the athlete has good strength and endurance with full flexibility. In this stage, sports-specific program should be enforced. And other general exercises are continued at once. Athlete returns to the field when the following criteria are met; no pain and swelling, full range of motion, adequate strength and endurance, good flexibility, good proprioception, adequate fitness, regained sports-specific skill, psychologically ready state,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