譯官들이 使行길에 오르기 전에 중국에 관한 정보는 어디서 얻었을까? 그것은 중국인들이 보내왔던 편지가 한 몫을 했을 것이다. 1830년 1월 25일 청나라 文人韓韻海가 보낸 편지부터 1863년 5월 15일 孔憲庚이 보낸 편지까지 모두 61명이 보낸 279통의 편지가 朝鮮의 譯官 李尙迪에게 전해졌다. 무려 35년 간에 걸친 양국 간 교류의 모습을 보여주는 실증 자료라고 하겠다. 이상적은 이 편지를 모아 10帖으로 裝幀한 뒤 보배처럼 간직하고 이 편지첩을 『海隣尺素』라고 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 『해린척소』 원본은 언젠가 모르게 자취를 감췄다. 다행스럽게도 이 『해린척소』를 보고 베껴 쓴 전사본이 15종이나 전하고 있다. 15종의 전사본이 존재한다는 것은 그 『해린척소』를 읽었다는 전제가 깔려있고, 필요에 의해 轉寫했다는 말이 될 것이다. 무슨 필요에 의해서 『해린척소』를 읽고 그것을 전사했을까. 그 필요성은 바로 『해린척소』에 담긴 정보 그 자체이고, 그것은 곧장 『해린척소』가 지니고 있는 가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고는 이러한 논지로 출발해서 譯官들이 『해린척소』를 읽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정보의 가치를 몇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청조 인사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둘째, 청조 인사들의 문화적 취향을 알 수 있다. 셋째, 문예적 가치가 있음을 볼 수 있다. 넷째, 당시 사회에 대한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다. 다섯째, 문물 교류의 구체적 모습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몇 가지가 바로 『해린척소』가 지니고 있는 가치라고 하겠다.
Lee Sang-jeok, a Joseon translator, received 285 letters from 61 people from the one by Han Yunhai(韓韻海), a literary figure in Qing Dynasty, on January 25, 1830 to the one by Kong Xiankyung(孔憲庚) on April 24, 1864. Those letters are empirical data to show the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over a period of 35 years. Lee bound the letters in ten cheops, kept them like treasure, and called them Haerincheokso. It is very unfortunate, however, that the original had disappeared one day, and it is fortunate that there are 15 different transcripts of the book. The fact that there are 15 different transcripts indicates that people read Haerincheokso and transcribed it for their needs. What needs would have driven them toward reading and transcribing it? The key is the information it holds. It is no exaggeration that the information defines its very values. Starting with that point of argument, this study classified the information values one could obtain by reading Haerincheokso. The classif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one can have information about the figures of Qing Dynasty. Second, one can have access to the literary tastes of the figures of Qing Dynasty. Third, one can identify its value as literary art. Fourth, one can grasp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s. Finally, one can have a look at the specific aspects of exchanges of civilization. Those outline the values of Haerincheok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