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Yoo, Eun Ju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저널정보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논총 法學論叢 第25卷 第1號
발행연도
2012.6
수록면
215 - 254 (4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난민은 사회에 새롭게 들어온 사람이라는 점에서 이주민 혹은 이민자와 유사하다. 그러나 난민은 국민을 보호해야 할 본국 정부로부터 오히려 억압과 탄압의 대상이 되어 왔기 때문에 난민을 둘러싼 문제는 이주민과는 달리 매우 정치적이고 복잡한 양상을 띤다. 한국정부는 1992년 난민지위에 관한 협약을 비준하였지만, 2001년까지 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 후 2010년 초반에 이르기까지 2,500명의 지원자가 난민지위를 신청했고, 그 중 약 200여명이 난민지위를 인정받았으며, 약 100여명이 인도적 법적 체류의 승인을 받았다. G20 정상회의의 일원이며, 유엔사무총장을 배출한 국가로서의 국제적 지위에 비해 한국은 여전히 극히 일부의 난민에게만 난민지위를 인정하고 있을 뿐이다.
사회의 안전성과 건전함을 평가하고, 국가가 정의를 잘 실현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정치공동체가 얼마나 잘 통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사회 내의 소수자와 소수자집단이 어떤 처우를 받고, 얼마나 자율적으로 생활하며, 다른 사회 구성원들과 상호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조사해야 한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난민관련법 및 난민의 현황을 고찰, 현재 우리나라에 난민통합정책이 부재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미국과 유럽 내 여러 국가의 난민통합정책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난민통합정책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난민통합정책을 세우는데 있어 먼저 난민의 객관적, 주관적 상황 및 그들의 다양한 경험을 고려하여야 하며, 둘째, 헌법적, 민주적 실험주의를 시도하는 것, 셋째, 인간의 존엄과 가치가 최우선시 되어야 하고, 넷째. 그러한 통합과정에 있어 난민을 받아들이는 기존 사회 구성원의 정서와 역량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2012년에 통과된 난민법의 내용을 검토하고 개선되어야 할 내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이 난민의 정착과 통합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어야 할 것임을 주장하였다.

목차

I. Introduction
II. Refugee Integration Policies
III. The Current State of Refugees and Refugee Laws in Korea
IV.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41)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3-360-002677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