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I. Statement of the Problem
II. Previous Studies
III. Analysis of Grade School Curriculum Goals
IV. Analysis of Teacher Talk
V. Possible Solutions: Can TEACHER TALK be rehearsed and recited?
VI. Conclusion: Implications for TETE and CL T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CLT and TETE in Korea: Practical Suggestions for Realistic Practices in the EFL Classroom
영어교과교육
2009 .01
원어로 진행되는 영어수업에 대한 비판적 재고
영어교과교육
2010 .01
Problems and Needs in the Secondary School “Communicative” English Classes
응용언어학
2003 .06
영어로 진행하는 초등영어 수업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신념
영상영어교육(STEM Journal)
2007 .01
Effects of Reading Ability and Affective Attitudes through TETE & TETE&K
신영어영문학
2012 .02
TETE에 대한 한국과 인도네시아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언어학 연구
2020 .01
영어활용 영어수업의 이론과 실제
신영어영문학
2009 .08
Unresolved Issues in CLT and Native-Speakerism in Korean English Language Teaching Contexts
영어영문학21
2018 .01
영어전용수업에 대한 중등 영어교사 및 학습자 인식 조사
새한영어영문학
2009 .05
Native or Non-native English Teachers in Korea?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7 .05
Why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Has Yet to Work in Korea: Exploring Teachers’ Viewpoints
Journal of Asia TEFL
2019 .01
思考口述을 통한 漢文科 讀解 樣相 硏究
漢字漢文敎育
2007 .01
대학의 대형 EFL 강좌에서 의사소통중심 교수법
영어영문학21
2016 .01
L2 Reading Comprehension : Text, Task, and Reading Ability
응용언어학
2006 .06
A Framework Justification for Using Grammar Instruction in a CLT Focused Class
영어교과교육
2013 .01
대학 원어민교수들의 의사소통중심 접근법(CLT)에 대한 인식과 교수활동 연구
언어과학연구
2015 .03
The Case for a Procedural Model as a Multiple Measure of Reading Comprehension
응용언어학
1996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