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1. 머리말
2. 최근 국내외 학계의 홍범도(부대)연구 동향
3.〈홍범도 일지〉의 작성 및 국내 전파경위
4.〈홍범도 일지〉의 體裁와 構成
5.〈홍범도 일지〉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問題
6.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물바로보기 4] 홍범도 - 저명한 서민출신 항일무장투쟁의 명장
내일을 여는 역사
2001 .09
기획1 통일조국의 사표 : 남·북이 모두 높이 평가하는 인물 홍범도 -초기 항일무장투쟁의 명장
역사비평
1993 .02
洪聖民의 『鷄林錄』
경주사학
1996 .12
1920년대 전반기 김홍일의 항일무장투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4 .04
豊山 洪氏 門中의 家門意識 -洪良浩와 洪敬謨를 중심으로-
漢文敎育論集
2014 .01
한설야, ‘문예총’ 그리고 항일무장투쟁사
통일인문학
2014 .12
송대 의방(醫方) 지식의 전승과 사대부의 역할 : 화독배농내보산(化毒排膿內補散)을 중심으로
의사학
2018 .04
박용만, 미대륙의 항일무장투쟁론자
내일을 여는 역사
2007 .06
항일영웅과 역사의 연극미학적 재현 ― 고려인 극작가 태장춘의 희곡 「홍범도」
대동문화연구
2012 .01
만주 항일무장투쟁과 한국전쟁에서의 김일성-가치 판단 이전의 사실 판단을 위하여
인물과사상
1999 .03
洪羲俊의 對淸認識
고전문학연구
2015 .01
한설야의 「혈로」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
2012 .04
이청천 : 일본육사 출신의 항일 무장투쟁 지도자
한국사 시민강좌
2010 .08
홍가신과 임진왜란 : 충청 지역 지방관이 경험한 임진왜란 전후의 조선사회
한국인물사연구
2007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