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서론
2. 초기 지젝의 이론에 관하여
3. 이데올로기의 공간에서 ‘행위’의 공간으로
4. 결론을 대신하여: 진정한 행위를 통한 자유의 공간의 생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슬라보예 지젝의 실재의 존재론
마르크스주의 연구
2020 .05
한국사회에서 지젝의 위험한 철학?
뉴 래디컬 리뷰
2014 .03
지젝의 양분화된 ‘포스트모던’ 이데올로기 비판
시민과세계
2011 .12
실재의 정치학과 배제된 자들의 공산주의 : 지젝의 공산주의 정치학에 대하여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4 .02
지젝의 이데올로기론 비판과 맑스주의 이데올로기의 재건을 위하여
노동사회과학
2016 .07
슬라보예 지젝(S. Zizek)의 정치적 주체 이론
민주주의와 인권
2010 .04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 : 양석원과 지젝의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뉴 래디컬 리뷰
2001 .06
지젝의 평등민주주의에 대한 반론으로서의 절차민주주의
사회과학연구
2018 .11
지젝의 들뢰즈 읽기에 나타난 인간주의적-관념론적 오독
뉴 래디컬 리뷰
2013 .06
오늘 우리에게 마르크스주의는 무엇인가
이론
1993 .12
폭력 그리고 진리의 정치 : 벤야민(W. Benjamin)과 지젝(S. Žižek)의 ‘신적 폭력’ 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2014 .08
중국에서의 마르크스주의의 몰이론화와 몰자유화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0 .11
오늘날 마르크스주의의 의미
마르크스21
2011 .09
슬라보예 지젝과 공산주의의 (불)가능성 : 가설과 이념의 정치적 동력학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4 .08
변혁주체의 자유와 결정론 - 맑스 · 엥겔스와 지젝의 주체론 소고
노동사회과학
2020 .11
적대들과 차이들 : 목적론, 종말론 · 메시아주의와 이론적 아나키즘의 문제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5 .08
마르크스주의 이론체계 및 그 건립에 관한 논의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4 .05
마르크스주의와 나, 그리고 현실
뉴 래디컬 리뷰
2015 .09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대상과 기능이란 무엇인가
이론
1993 .03
알튀세르의 ‘실재’와 유물론적 담론 이론을 위한 프로젝트 : 라캉과의 논쟁을 중심으로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3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