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며
2. 쌍용차 위기의 진정한 원인
3. 쌍용차의 처리 방안을 둘러싼 각 세력의 입장들과 각 세력(과단체들)의 주장
4. 투쟁방법과 수단에 대한 평가
4. 쌍용차 투쟁의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Ssangyong Motor’s Strike in Korea Ends in Defeat and Heavy Repression
마르크스주의 연구
2009 .11
쌍용자동차 77일 : 끝날 수 없는 투쟁
시민과세계
2009 .12
중국 파업에 대한 최근 논의 분석 및 파업 사례 연구
산업관계연구
2013 .12
[1997년 1월 파업 돌아보기] 노동자들은 어떻게 싸웠고 지금 어떻게 싸워야 하는가?
마르크스21
2019 .10
[책 속의 책]노동자 파업 들여다보기
초등우리교육
2002 .07
풀어 읽는 파업론
중등우리교육
2001 .12
파업
노동사회과학
2019 .11
발전 노동자들의 파업, 결코 끝날 수 없는 투쟁
교육비평
2002 .06
쟁의행위의 목적
노동법학
2019 .03
정치파업의 정당성 :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노동법학
2010 .09
노동조합의 파업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동태적 분석 : 패널자료 분석
한국경제연구
2006 .12
업무방해죄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의와 과제 : 후속 판결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노동법연구
2012 .09
‘시애틀 전투’ 10주년과 쌍용차 파업의 교훈
마르크스주의 연구
2009 .11
프랑스에서 파업권의 보호와 대체근로의 제한
노동법연구
2018 .09
언론보도가 파업행위에 미치는 영향
산업관계연구
2020 .09
파업의 정치학: 파업과 계급투쟁
뉴 래디컬 리뷰
2000 .03
필수공익사업장에서 정당한 쟁의행위란 가능한가? : 2009년 철도노조 파업의 법적 쟁점들
동아법학
2014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