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0% 이상인 비만중년여성 18명을 대상으로 하타요가 운동이 체조성과 혈청지질 및 건강체력에 미치는 효과와 내장지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하타요가 운동을 16주간 운동군과 비운동군으로 나누어 주3회, 80-90% ROMmax, 60분간 실시한 후 운동 전과 후의 신체조성, 내장지방, 혈청지질, 에너지대사 및 건강체력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후에 하타요가집단은 체중, 체지방률(%BF), 체질량지수(BMI), 허리엉덩이둘레비(WHR) 및 내장지방면적(VFA)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유리지방산(FFA)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인슐린 저항성지수(HOMA-IR)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하타요가 집단은 악력, 배근력,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하버드스텝테스트 및 앉아 윗몸앞으로 굽히기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장기간의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요가운동이 비만중년 여성의 심혈관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되고 비만해소와 대사합병증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Hatha Yoga exercise on the body composition, serum lipids, and health-related fitness of obese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in the Hatha Yoga exercise group (n=9) were 18 obese middle-aged women that trained for 16 weeks and a control group (n=9). Body composition, serum lipids, and health-related fitness were measured in all of the subjects before the start of the training program and at the end of the 16 wee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Body weight, %BF, BMI, WHR, VFA, TC, TG, LDL-C, FFA, and HOMA-IR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LBM, HDL-C, grip strength, back strength, push-ups, sit-ups, Harvard step test, and sitting trunk flex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atha Yoga exercise group after 16 weeks. Therefore, regular and continuous Yoga exercise was effective in improving body composition, serum lipids, and health-related fitness. Consequently, Yoga exercise could be effective f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caused by obesity in middle-aged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