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統一關稅制度’의 실시와 조선인의 반대
3. 조선의 특수사정과 ‘관세특례’의 실시
4. 무역규모의 정체와 대일 종속의 강화
5. 식민지적 수이출입 상품구조의 확립
6.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제2주제 : 朝鮮總督府의 財政政策
한국독립운동사연구
1992 .12
[왜?] 조선총독은 어떤 사람들이었나?
내일을 여는 역사
2004 .03
제1주제 : 朝鮮總督府의 收奪組織과 機能
한국독립운동사연구
1992 .12
특집2 : 조선총독부 연구 역대 조선총독과 일본군벌
역사비평
1994 .02
태평양전쟁말기 한일 「地理」교과서 비교 考察 : 朝鮮總督府 『初等地理』와 文部省 『初等科地理』를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7 .04
"김영숙(金榮淑) 저(著), 조선시대(朝鮮時代) 영사악부(詠史樂府) 연구(硏究)
국어국문학
1989 .12
『我邦疆域考』 역주·비평 (2) -四郡總考・樂浪考-
한국사학보
2020 .05
李丁奎(1897~1984)의 無政府主義運動
사학연구
1995 .03
고구려의 멸망에서 나당전쟁 발발로
중국고중세사연구
2017 .05
[왜?] '일본제국'은 조선총독에게 어떤 지위와 권한을 주었을까?
내일을 여는 역사
2004 .03
제2공화국의 대일무역정책과 무역구조의 성격
한국민족문화
1999 .09
관세, 왜 문제인가?
인물과사상
2006 .07
한국 근대사 사료 연구와 조선총독의 편지
한일관계사연구
2018 .08
조선총독부 초등학교 음악교육의 일탈과 실상 : 일반창가의 체계와 내용을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07 .05
태평양전쟁말기 한 · 일 「地理」교과서 비교 고찰 : 朝鮮總督府 『初等地理』와 文部省 『初等科地理』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7 .11
李白의 自薦 書信
중국문화연구
2016 .02
日帝時代, 朝鮮總督府의 知識情報政策과 刊行物 分析
한국민족문화
2001 .09
1920년대 사이토오(齋藤實)총독의 조선통치관과 ‘내지연장주의’
담론201
200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