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이백의 산문에 대하여
2. 본문 번역 문장에 대한 분석
3. 본문 번역 및 주석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我邦疆域考』 역주·비평 (2) -四郡總考・樂浪考-
한국사학보
2020 .05
현대 일본의 시민사회와 ‘센카쿠제도’
일본문화연구
2022 .10
16세기말 영남 관료 李庭檜의 인적 교류와 同官契의 실제
대동문화연구
2022 .06
李白과 李賀의 <將進酒>가 한국 한시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국학연구론총
2015 .01
고구려의 멸망에서 나당전쟁 발발로
중국고중세사연구
2017 .05
朝鮮後期 詠史樂府의 협운 활용 양상에 대하여
한국한문학연구
2015 .03
신라말 고려초 高鬱府․興禮府의 운영과 州 개편
역사문화연구
2020 .01
箕子전승의 형성과 단군 신화에의 편입 과정
한국사학보
2016 .11
『삼국지』의 ‘海賊’기사 검토
인문사회과학연구
2018 .01
杭州龍華寺供奉傅翕靈骨舍利考
동아인문학
2018 .06
일본(日本) 천황가(天皇家)의 발상지(發祥地)와 소위 천손(天孫)이 내려간 남구주(南九州)의 한국(『韓國』)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2018 .12
칠성과 부군(府君) 신앙, 뱀 신앙
비교민속학
2015 .12
서평 : 『일본 속의 百濟』
백제학보
2019 .01
연행로의 지리(地理)와 심적(心跡) -산해관(山海關)~통주(通州) 구간
국문학연구
2017 .01
한국어와 일본어 표준어, 한국어 제주방언과 전라남도방언 종조사의 출현양상과 정보관리기능
국어문학
2022 .07
9세기 신라・일본해적의 연대와 일본정부의 대응
일본어문학
2015 .01
행주(幸州)와 덕양(德陽)의 지명 유래 관련 공간성의 어문학적 고찰
우리어문연구
2016 .01
16세기 말~17세기 초 朝鮮과 建州女眞의 배후 교섭과 申忠一의 역할
한국인물사연구
2016 .03
原汾州府域内晋语方言阴阳平的近似合并
중국언어연구
2022 .08
고대·고려 초 울산지역 변동과 蔚州의 성립
대구사학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