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남ㆍ북한의 통일방안과 한계
Ⅲ. 한반도에 적용 가능한 과도체제의 형태들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he U.S.S.R. and the Issue of Korean Re-unification
아세아연구
1970 .12
다석 유영모의 평화 사상: 국가주의적 폭력의 해체와 민주 평화 사상의 확립
통일과 평화
2018 .01
Two years since German Unification
[KIEP] 연구보고서
1993 .02
한반도 통일과정에 대한 소고 : 행위자와 통일비용을 중심으로
국제학논총
2012 .10
독일통일 모델이 한국통일 논의에 미치는 영향
유럽연구
1999 .12
남북한 통일 관련 이슈에 대한 언어네트워크 분석 :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14 .12
남북한 통일교육정책의 실상과 수렴방안 試論: 중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2006 .01
통일 교육을 바라보는 유아 교사들의 이야기
한국유아교육연구
2019 .01
The Significance and Problems of Korean Unification
아세아연구
1970 .12
The Role of Education after Korea’s Unification
한반도선진화재단 기타 단행본
2013 .01
A View on North Korean Unification Strategy
국제정치논총
1991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