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Ⅱ.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기본권의 객관적 측면
Ⅲ. 헌법의 객관성이 표출되는 몇 가지 문제
Ⅳ. 제문제들과 관련한 심사기준
Ⅴ. 결론 - 국가의무규범으로서의 헌법의 객관성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헌법재판소 1989. 4. 17. 선고 88헌마3 전원재판부〔각하〕
1. 검사(檢事)의 불기소처분(不起訴處分)은 공권력(公權力)의 행사(行使)에 포함되고, 검사(檢事)의 자의적(恣意的)인 수사(搜査) 또는 판단(判斷)에 의하여 불기소처분(不起訴處分)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헌법(憲法) 제11조, 제27조 제5항, 제30조에 정(定)한 기본권(基本權)을 침해(侵害)하게 된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7. 1. 16. 선고 90헌마110·136(병합) 전원재판부〔각하·기각〕
1. 특례법 제4조 제1항은 비록 형벌에 관한 것이기는 하지만 불처벌의 특례를 규정한 것이어서 위 법률조항에 대한 위헌결정의 소급효를 인정할 경우 오히려 형사처벌을 받지 않았던 자들에게 형사상의 불이익이 미치게 되므로 이와 같은 경우까지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 단서의 적용범위에 포함시키는 것은 그 규정취지에 반하고, 따라서 위 법률조항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4. 12. 29. 선고 89헌마2 全員裁判部
가. 군정법령(軍政法令)에 의하여 수용(收用)된 사설철도회사(私設鐵道會社)의 주주(株主) 등 재산관계권리자로서 군정법령(軍政法令)에 따라 적법하게 보상신청서를 제출함으로써 보상청구권(補償請求權)을 확정적으로 취득한 자 또는 그로부터 위 보상청구권(補償請求權)을 승계취득한 자는 이 사건 입법부작위(立法不作爲)와 자기관련성이 있고, 보상청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8. 8. 19. 선고 2008헌마505 제1지정재판부
청구인은 이 사건 심판청구서에서, 피청구인이 산재근로자 직업복귀촉진을 위한 지원규정(이하 `이 사건 규정’이라 한다)에서 이미 폐지된 직업재활훈련 운영사업에 관하여만 외국인 산재장해자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을 뿐 직업훈련비용 지원사업에 관하여는 외국인 산재장해자에 대한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이는 진정입법부작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하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와 과소보호금지원칙
법학연구
2014 .06
외국인이나 외국 공권력에 의한 기본권 가해시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와 유럽인권재판소 판례를 고찰하며 -
홍익법학
2019 .01
기본권해석에 있어서 기본권의 객관법적 성격의 기능과 현대적 쟁점
법학연구
2011 .05
자연재난에 대한 국가의 공법상 보호의무
헌법논총
2018 .01
기본권보호의무의 구조와 보호권
헌법재판연구
2018 .01
기본권보호청구권의 구조와 체계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2012 .02
헌법상 안전에 대한 국가의 의무
미국헌법연구
2016 .12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론의 재정립에 관한 시론
법학연구
2020 .03
헌법영역에서 기본권보호의무
공법학연구
2007 .08
기본권 관련 입법에 대한 입법형성의 한계와 헌법재판 - 헌법재판소 판례에 나타난 정당성 심사기준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법과정책
2019 .01
기본권보호의무 위반 심사기준으로서 과소보호금지원칙
헌법재판연구
2020 .01
환경권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 보호 의무와 법리적 시각 변화
유럽헌법연구
2020 .01
헌법개정과 기본권
저스티스
2013 .02
자유권적 기본권의 도그마틱과 기본권 이론에 대한 검토
저스티스
2019 .02
기본권침해 심사기준에 대한 소고 : 과잉금지원칙의 적용영역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2009 .08
국제인권규범을 통한 사회적 기본권의 구체화 가능성 검토
법학논집
2018 .01
미국연방대법원의 기본권 확장의 법리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2011 .08
기본권 효력확장이론과 쟁점에 관한 고찰
홍익법학
2017 .01
헌법상 근로의 의무에 대한 고찰
원광법학
2019 .01
국민의 의무이행을 확보하기 위한 입법론적 연구
유럽헌법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