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서론
2. 서울: 외부 ‘적’의 창출과 죄의식의 공간
3. 후방: 반공윤리를 위한 균열의 공간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숭고의 수사학과 환멸의 기억 : 한국전쟁기 문학담론과 집단기억의 재구성
우리말글
2006 .12
한국전쟁 전후 반공문화 형성과 그 의미 : 반공영화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016 .05
한국전쟁기 반공텍스트와 고백의 정치학
한국현대문학연구
2006 .12
이데올로기의 억압과 공포 : 반공 텍스트의 기원과 유통, 1950년대 소설의 왜곡
현대소설연구
2005 .03
6·25와 반공과 자본주의
신학지남
1992 .06
한반도 화교들의 한국전쟁
역사비평
2010 .05
반공주의 감성 기획, ‘반공영화’의 딜레마 - 1950~60년대 ‘반공영화’ 논쟁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2012 .01
Communist Life In North Korea
Korea Journal
1963 .11
1950년대 반공교과서의 서술 전략 연구 : 『반공독본』과 『애국독본』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009 .04
특집:분단체제와 극우반공이데올로기의 정치경제학 한국전쟁과 반공이데올로기의 정착
역사비평
1992 .02
반공국가, 그 잔혹한 탄생, 『‘빨갱이’의 탄생-여순사건과 반공국가의 형성』, 김득중, 선인, 2009
역사비평
2009 .11
탈식민 전후 반공담론의 지속과 변주
역사연구
2017 .06
특별연구 남한사회와 월남기독교인 -극우반공체제하의 교회활동과 반공투쟁-
역사비평
1993 .05
한국전쟁기 임시 교과서와 반공 아동문학: 『전시생활』·『소년기마대』·『새음악』의 반공 텍스트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2018 .01
한국 전쟁기 여성 종군작가 소설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
2010 .04
1950년대 아동문학과 반공주의 - 아동잡지를 중심으로 -
동악어문학
2006 .02
정체성의 우화 반공 증언수기집과 냉전의 기억들
겨레어문학
2007 .01
일제말 전시체제기 조선방공협회의 활동과 반공선전전략
역사와현실
2014 .09
특집:분단체제와 극우반공이데올로기의 정치경제학 일제말 미군정기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
역사비평
1992 .02
한국 전쟁기 반공텍스트와 고백의 정치학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2006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