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Ⅱ. 최초 제네바협약의 체결과정과 의의
Ⅲ. 한국전쟁과 제네바협약 적용
Ⅳ. 휴전회담
Ⅴ. 미해결과제
Ⅵ. 결론
〈부록〉 1864년 8월 12일자 전지에서 부상자의 상태개선에 관한 제네바협약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49 년 제네바 제 3 협약 제 118 조에 관한 일고찰 : 한국전쟁에서의 포로교환을 중심으로
서울국제법연구
2000 .06
『 자국민 』 에 적용되는 제네바협약에 관한 일 고찰
중앙법학
2001 .06
한국전쟁 기간 국군에 의한 남한 민간인 집단살해행위에 전쟁법의 적용 검토
인도법논총
2006 .09
1864년 제네바 협약 가입 110주년 : 그 의미와 영향
국제법학회논총
2013 .12
1949年의 제네바條約
국제법학회논총
1966 .05
제네바법(the law of Geneva)의 발전과 현대적 과제
국제법학회논총
2011 .12
한국의 1864년 최초 제네바협약 가입 110주년 : 그것의 의미와 영향에 관한 고찰
인도법논총
2014 .12
제네바협약 위반 사례를 통한 전쟁시 민간인 보호에 관한 연구
유럽헌법연구
2019 .01
Geneva제협약의 국내이행입법에 관한 외국의 실태
인도법논총
2005 .08
Application of the Geneva Conventions of 1949 in the Korean War
인도법논총
1993 .11
[발제강연 Ⅰ] 제네바협약 추가의정서의 이행과 문제점 : 무력충돌사례를 중심으로
인도법논총
2003 .05
[Session Ⅱ(발제강연)] 제네바협약 추가의정서 30년의 회고와 전망
인도법논총
2008 .09
제네바협약의 정신과 적십자사의 보조적 역할
인도법논총
2012 .12
재북 한국군 포로송환을 위한 대책과 귀환포로에 대한 법적지원
인도법논총
2004 .07
150 years after the first Geneva Convention, Switzerland and the ICRC call for greater respect for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인도법논총
2014 .12
6 · 25전쟁 중 북한 포로수용소 실태와 국군포로 사망자 유해 발굴 가능성
군사
2010 .06
내가 겪은 6.25 전쟁
한국문화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