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Ⅰ. 서론
Ⅱ. 신지역주의의 등장배경과 특징
Ⅲ. WTO체제와 지역주의의 양립성
Ⅳ.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지역주의의 지역별 특성과 변화 가능성 : 대전·충청지역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보
2004 .05
자치시대 지역주의의 양상과 쟁점 : 신지역주의와 지역민주주의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06 .06
Globalization and the New Regionalism in Southern Africa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Development and Security Regionalism in the First Decade of Post-Apartheid Era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2015 .02
A View of Regionalism and Sub-regionalism in the APEC context
국제학논총
1996 .12
충청 지역주의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특성
정치정보연구
2007 .12
경제적 지역주의의 국제정치적 접근 : 이론적 검토와 APEC에의 적용
국제정치논총
2002 .10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자연적 경제권(NETs)
한국동북아논총
2006 .03
동아시아의 소지역주의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8 .06
Regionalism in the Age of Asia
Global Asia
2006 .09
충청 지역주의의 변화와 지역정당해체
한국정당학회보
2006 .02
서유럽의 지역주의론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Western European Regionalism since 1970`s )
대한지리학회지
1998 .03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ism and Multilateralism: A Case Study of the Korean Computer Industry
대한지리학회지
2004 .06
Regionalism in East Asia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8 .06
세계화의 패러독스: 지역주의의 병존과 심화
세계지역연구논총
2010 .01
Global Regionalism and Korea's FTA Policy
한국무역학회 학술대회
2000 .04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지역통합 : 평가와 전망
한국동북아논총
2008 .12
지역주의 개념에 관한 이론적 고찰
社會科學
1997 .12
지역주의와 다자동맹 : 동아시아에서의 공존 가능성에 대한 시론(試論)
국제정치논총
2008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