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연해지역민의 매향과 그 목적
Ⅲ. 매향활동의 규모와 주도계층
Ⅳ.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埋香碑文의 基礎檢討
지방사와 지방문화
2003 .05
한국 중세시기 香徒의 존재양상과 성격
한국민족문화
2012 .11
한국 미륵신앙의 현대적 변용 : 전북의 매향비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6 .12
연안지역공동체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부의 역할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0 .04
조선시대의 미륵사상과 신앙의 4가지 유형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9
Maitreya in Korea
Korea Journal
1989 .11
실천 공동체에 함의된 연대 그리고 로컬리티 : 커뮤니티 아트를 중심으로
로컬리티 인문학
2016 .04
안국사지 석불과 매향암각의 조성주체
역사민속학
2006 .06
Maitreya Is Special in Korea
Korea Journal
1980 .04
성남시의 문화정책 현황과 과제 : 대학의 역할과 관련하여
아시아문화연구
2006 .02
원불교사상에 나타난 미륵신앙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0 .03
미륵신앙과 경제적 개벽
종교연구
2002 .09
원불교와 미륵신앙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06 .12
한국 고대 香徒의 조직과 역할
한국고대사연구
2016 .03
고려 무인집권기 지방사회 저항에 대한 연구동향과 과제
통일인문학
2007 .12
State Schools and the Local Community in Colonial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03 .12
Local Governance and Community Power in Korea
Korea Journal
2006 .12
정보화 시대의 영성과 신앙공동체
기독교교육정보
2002 .10
한국사회 이주민 종교공동체의 실태와 성격
종교문화연구
2010 .06
17世紀 鄕村敎化論과 鄕禮 認識 - 李惟泰, 尹鑴, 朴世采를 中心으로-
동양고전연구
201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