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1. 서론
2. 유럽의 상이한 낙태 접근과 여성건강
3. 한국의 낙태 논쟁에 대한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낙태에 대한 개방적 접근의 필요성 : 한국 낙태 정책에 대한 역사적 · 보건학적 고찰을 중심으로
생명, 윤리와 정책
2018 .0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서의 낙태
생명, 윤리와 정책
2018 .04
낙태와 헌법상의 근본가치 : 여성의 자기결정권과 태아의 생명권
젠더와 문화
2010 .12
여성 낙태권의 필요성과 그 함의
한국여성학
2005 .04
여성의 낙태 선택권과 입법과제 연구
한국여성학
2001 .12
여성의 몸과 낙태 : 한국의 낙태규제정책을 중심으로
여성연구논총
2011 .02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7 .03
성·재생산권으로써 낙태권리를 위하여 - 낙태제도 변동의 쟁점과 방향
페미니즘 연구
2020 .04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온라인 뉴스와 댓글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2018 .01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생명윤리
2017 .12
낙태죄 폐지에 대한 법적 이해에 대하여
생명, 윤리와 정책
2018 .04
출산정책과 낙태규제법의 이념과 현실
페미니즘 연구
2010 .04
Comparative Abortion Politics : Laws, Practices, Backlashes
Asian Women
2002 .06
낙태논쟁의 권리 프레임에 대한 공동체주의적 여성주의의 비판
한국여성학
2011 .12
법에 나타난 낙태문제
여성과 사회
1997 .07
낙태죄 ’폐지’를 말하는 이유 : 임신중단권 보장의 법적 쟁점과 방향
페미니즘 연구
2019 .04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아시아여성연구
2013 .11
낙태논쟁 속 법담론의 탈관계성 비판 : 낙태죄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2014 .06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한국여성학
2010 .12
What do college students think about the autonomy of the abor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