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緖論
Ⅱ. 時制의 基準時點의 問題
Ⅲ. 國語의 文法範疇로서의 相
Ⅳ. 마무리
參考文獻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國語의 時制
언어
1976 .12
濟州方言 接續文의 時制에 관한 一考
어학연구
1978 .12
십오세기(十五世紀) 국어(國語)의 시제(時制) 범주(範疇)
국어국문학
1967 .01
近代における訓読法の展開 : 時制を通して
일본어학연구
2000 .09
현대국어(現代國語) 시제(時制)에 관(關)한 문제(問題)
국어국문학
1972 .11
韓·英語의 動詞時制에 관한 對照硏究
새한영어영문학
1974 .03
용언(用言)의 '대과거(大過去)' 시제(時制)에 대한 한 고찰(考察)
국어국문학
1972 .11
中世國語 時制 形態素의 發掘과 그 時制體系의 確立 : 動詞의 叙實法(indicative mood)의 경우를 중심으로
성곡논총
1982 .10
佛語動詞의 時制關係 : 담화·서술 / 단순형·복합형
어학연구
1981 .12
태국어에서 시제와 상의 표현 : 현재시제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09 .06
<메모리스>: 기억의 세 가지 시제
문화과학
2001 .03
現代日本語動詞의 否定形의 相과 時制의 意味分析
일본문화학보
1997 .02
현대 프랑스어의 직설법 時制 체계
코기토
1986 .06
국어 시제 해석에 관한 연구
어문학
2003 .03
국어의 시제, 상 및 서법
언어
1995 .09
「vている」의 한국어대응과 문법적 제약
언어과학연구
2011 .12
한영 기계번역에서 선어말어미의 처리 : 시제·상을 중시으로
한국어학
1998 .12
러시아어 동사 시제형의 전이적 사용 연구
동유럽발칸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