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는 말
2. 『老子』1장의 ‘常’字에 대한 다양한 이해
3. 變과 不變의 통일로서의 ‘常’字
4. 隨時變易으로서의 ‘常’字
5. 맺는 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도부사 ‘非常’의 어법화 연구 : 《型世言》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13 .08
具 常의 存在觀과 體驗詩
국어문학
1985 .01
老子가 말하는 疏通의 기본
수사학
2016 .12
現代日本語における「大変」と「非常に」の使用状況について
일본문화연구
2016 .01
『老子』11장을 통해 본 노자의 有ㆍ无觀 : 있음과 없음으로의 세계이해 방식
철학
1999 .05
『노자』 제25장의 존재론적 검토
철학논총
2001 .10
【논평문】 천병돈 선생님의 「후기 하곡학파의 常과 變」을 읽고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04
정지상(鄭知常)의 생애(生涯)와 작품(作品)
국어국문학
1983 .05
王弼의 『老子注』에서 有ㆍ無에 대한 考察
철학
2000 .05
라오스의 소수민족 정책과 소수민족 차별
민족연구
2010 .01
장자 사상의 탈 현대적 의미
철학연구
2002 .11
The Korean Wave and Lao People’s Perception of Korea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1 .03
芥川龍之介におけるヒューマニズム : 「杜子春」をめぐって
일어일문학
2013 .11
정지상(鄭知常) 한시(漢詩)의 영원한 생명력
동악어문학
1996 .12
정지상의 시 “送人”에 관한 번역연구
중국조선어문
2014 .05
고려후기 수취체제의 변화에 대한 일고찰 - 상요(常요)ㆍ잡공(雜貢)을 중심으로 -
역사와경계
1992 .06
[道德經]의 수사적 표현 분석을 통한 老子의 조화로움(和) 고찰
수사학
2015 .09
馬一浮 『論語大義』 연구
양명학
2013 .08
成三問과 申叔舟의 策文에 나타난 現實認識 比較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1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