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맑스주의의 위기
2. 포스트 맑스주의 논쟁의 구도
3. 포스트 맑스주의 논쟁의 실천적 함의 : 시민사회론의 정치철학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포스트 맑스주의와 새로운 해방의 논리
한신논문집
1991 .11
생태맑스주의로의 길
지구화시대 맑스의 현재성
2003 .05
한국에서 포스트맑스주의의 수용 과정과 쟁점들
민족문화연구
2012 .01
일제하부터 1950년대까지 맑스주의의 수용
철학사상
1995 .12
맑스주의와 진보 그리고 빼기의 정치
현대사상
2016 .09
탈이데올로기 시대의 국가와 시민사회 : 헤겔, 마르크스 그리고 포스트 마르크스주의의 정치철학
철학
1993 .12
맑스주의와 문화연구 : 패러다임 위기
지구화시대 맑스의 현재성
2003 .05
데리다와 맑스주의
현대사상
2009 .10
민중신학과 맑스주의
지구화시대 맑스의 현재성
2003 .05
탈근대적 맑스주의의 새로운 계급논의
지구화시대 맑스의 현재성
2003 .05
맑스주의에서 레닌주의로
계간 사상
1989 .09
풀뿌리운동과 맑스주의
현대사상
2016 .09
한국 맑스주의 정당운동의 현재와 미래
문화과학
2008 .09
호치민과 맑스주의
현대사상
2017 .07
맑스주의와 유럽 기독교 사회주의 운동
지구화시대 맑스의 현재성
2003 .05
지구화와 맑스주의 국가론
지구화시대 맑스의 현재성
2003 .05
맑스주의 미학에 대한 재성찰과 전망 : ‘반영’에서 ‘표현’으로
지구화시대 맑스의 현재성
2003 .05
사이버스페이스와 맑스주의 운동의 미래
지구화시대 맑스의 현재성
2003 .05
그리스도교와 맑스주의와 가난한 사람들
신학전망
1982 .03
트로츠키와 맑스주의 : 몇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현대사상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