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논문요지
Ⅰ. 서론
Ⅱ. 정신질환자 강제입원 현황과 국제기준
Ⅲ. 정신보건법과 인신보호법의 개관
Ⅳ. 인신보호법상 구제청구절차 및 구제요건
Ⅴ. 결론(사회보장법적 관점의 사법서비스 접근권과 사회통합)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09. 6. 11.자 2009인마2 결정
피수용자의 구제청구에 대하여 수용의 적법성 및 수용을 계속할 필요성에 관한 수용자의 소명이 부족한데도 피수용자가 위법하게 수용되었다거나 수용사유가 소멸하였다는 주장을 인정할 만한 자료가 없다고 본 원심결정에, 구제청구사건의 심리요건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고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위법이 있다고 한 사례.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1. 15. 선고 2006다19832 판결
[1] 정신의료기관의 장은 응급입원이 의뢰된 자에 대하여 72시간 내에 계속입원에 필요한 정신보건법 소정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때에는 입원중인 자를 즉시 퇴원시켜야 하고, 이를 위반하여 72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퇴원을 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위법한 감금행위로서 불법행위가 성립하며, 이러한 위법한 감금행위가 지속되는 가운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2. 23. 선고 2000도4415 판결
[1] 구 정신보건법(2000. 1. 12. 법률 제615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2조 제1항에 의하면 정신질환자의 보호의무자는 정신과전문의의 진단에 의하지 아니하고 정신질환자를 입원시켜서는 아니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제24조 제1항은 정신의료기관의 장은 정신질환자의 보호의무자의 동의가 있는 때에는 정신과전문의가 입원이 필요하다고 진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신보건법의 이념에 비추어 본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의 법정책적 문제
성신법학
2011 .12
이탈리아의 강제입원제도
법학논집
2017 .01
정신장애인의 인권과 지역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본 2016년 정신건강증진법의 평가와 과제
의료법학
2016 .01
보호입원제도 존속의 한계성에 관하여 : 정신보건법 제24조 제1항 등의 헌법불합치 결정을 중심으로
사회보장법연구
2016 .12
정신보건법상 보호자제도와 민법상 감독자책임에 관한 검토- 일본 정신보건복지법상 보호자제도의 폐지과정을 중심으로 -
재산법연구
2015 .01
거버넌스(Governance) 관점에서 정신보건법상 비자의입원의 문제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모색
홍익법학
2014 .01
인신보호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특히 보충성원칙을 중심으로
강원법학
2015 .02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와 관련한 정신건강복지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이론실무연구
2020 .05
정신보건법에서의 탈원화과정분석
사회과학연구
2015 .02
정신보건법에 따른 정신보건시설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97 .04
정신질환자에 의한 ‘묻지마범죄’의 실태와 대책방안 - 정신건강복지법상 입원제도를 중심으로, 일선 경찰관의 관점에서-
법과 정책연구
2019 .01
정신보건법과 정신장애인 인권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0 .11
정신보건법에 따른 정신보건서비스 및 프로그램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97 .04
정신장애인의 법적 권리보호로서 성년후견제도의 적용가능성 : 정신보건법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2014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