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문화대혁명 이전의 티베트 귀속 정책
Ⅲ. 개혁개방 시기의 티베트 귀속정책
Ⅳ.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티베트 사료의 한국 관련 기록 고찰
동양사학연구
2019 .12
티베트 민족 문제의 역사적 궤적
역사비평
2008 .11
河口惠海 - 第一个进入西藏的日本人
아시아문화연구
2004 .02
완마차이단 영화의 ‘문화의 재구성’ 고찰 : 티베트에서의 억압 정책에 대한 저항의 관점에서
중국어문학논집
2013 .02
티베트 영화에 대한 소고(小考) : 〈티베트에서의 7년〉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10 .12
티베트 해외 이주민 사회의 형성과 정체성 인식
HOMO MIGRANS
2010 .06
고의적 망각과 희망의 아이덴티티 -네팔 포카라 티베트 난민을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2014 .01
선교사의 눈에 비친 티베트— 아폴리토 데시데리(IppoIito Desideri, 1684-1733)의 선교활동과 티베트불교에 대한 인식
인문논총
2016 .01
The Research of the CPC’s Strategies of Governing Tibet
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
2019 .07
아라이(阿來) 소설에 나타난 티베트에 대한 상상과 기억에 관한 연구 - 소설 『格拉長大』와 『空山』을 중심으로 -
세계문학비교연구
2019 .01
티베트 생사관(生死觀)의 형성배경 : 환경과 종교의 관점에서
인문과학연구
2013 .06
티베트와 몽고의 만남에서 본 싸꺄
중국문화연구
2009 .12
What It Means to Be a Tibetan in India? On Consequences of Creating the Unified Pan-Tibetan Identity
Localities
2016 .11
티베트 민족의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시론(試論) :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신중국의 대티베트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13 .06
論唐紹儀在中英西藏交涉上的角色
지방사와 지방문화
2010 .11
유럽과 미국의 티베트학(Tibetology), 성과와 과제
동북아역사논총
2018 .06
티베트 세시풍속의 복합성과 그 문화적 요소
비교민속학
1999 .08
대만의 티베트사(史) 연구 동향과 쟁점
동북아역사논총
2018 .06
중국 정부의 티베트에 대한 ‘중국화’ 전략 : 현황과 함의
동북아역사논총
2006 .11
티베트 天葬 習俗의 生成背景 및 文化的 含意
동아인문학
200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