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티베트의 세시풍속을 보는 틀
Ⅱ. 티베트의 역법 변화와 수확기의 새해맞이
Ⅲ. 티베트의 설맞이 풍속과 본교의 전통
Ⅳ. 티베트의 세시풍속과 불교적 전통
Ⅴ. 티베트의 세시풍속과 풍농기원의 제의
Ⅵ. 티베트의 세시풍속과 유목문화의 영향
Ⅶ. 티베트의 자연환경과 세시풍속
Ⅷ. 티베트 세시풍속의 문화 복합성과 세계관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티베트의 장례풍속과 ‘천장’의 문화적 해석
비교민속학
1998 .05
티베트 영화에 대한 소고(小考) : 〈티베트에서의 7년〉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10 .12
高句麗와 西域 關係 試考
고구려발해연구
2002 .12
선교사의 눈에 비친 티베트— 아폴리토 데시데리(IppoIito Desideri, 1684-1733)의 선교활동과 티베트불교에 대한 인식
인문논총
2016 .01
티베트 민족의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시론(試論) :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신중국의 대티베트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13 .06
中華民國의 版圖 形成과 티베트 -20世紀 前半期 티베트 版圖 내의 對外 開放都市와 文物交流와 관련하여-
중국사연구
2006 .01
중국 정부의 티베트에 대한 ‘중국화’ 전략 : 현황과 함의
동북아역사논총
2006 .11
티베트 출산풍속의 생태학적 이해와 ‘환생’의 생명관
비교민속학
1999 .02
티베트 생사관(生死觀)의 형성배경 : 환경과 종교의 관점에서
인문과학연구
2013 .06
중국의 주변문제, 티베트를 보는 다른 눈 - 한족 출신 양심적 지식인 왕리슝과의 대담
역사비평
2008 .11
아라이(阿來) 소설에 나타난 티베트에 대한 상상과 기억에 관한 연구 - 소설 『格拉長大』와 『空山』을 중심으로 -
세계문학비교연구
2019 .01
The Research of the CPC’s Strategies of Governing Tibet
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
2019 .07
티베트 유목문화의 생태학적 해석
비교민속학
1992 .04
티베트의 탈춤
비교민속학
1992 .04
티베트의 문화와 가족관계에 나타난 효사상 검토
양명학
2020 .09
티베트 사료의 한국 관련 기록 고찰
동양사학연구
2019 .12
유럽과 미국의 티베트학(Tibetology), 성과와 과제
동북아역사논총
2018 .06
올림픽, 중국과 티베트의 딜레마
황해문화
2008 .06
‘新中國’의 티베트 정책
중국근현대사연구
2008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