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조약체결권 및 국회 동의권의 의의
Ⅲ. 헌법 제60조 제1항의 해석 및 조약체결절차법 제정 관련 주요사항
Ⅳ. 헌법 제60조 제1항의 개정 필요성 및 방향
Ⅴ. 결론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헌법상 조약체결권의 통제에 관한 일고찰 : 국회의 동의를 중심으로
미국헌법연구
2011 .04
조약체결절차법 제정 논의에 관한 고찰
국제법학회논총
2018 .09
조약의 체결·비준에 대한 국회의 동의권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한일정보보호협정을 중심으로
미국헌법연구
2012 .08
THE MEANING OF "ADVICE AND CONSENT" IN THE TREATY-MAKING PROCESS OF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 A COMPARATIVE STUDY
미국헌법연구
2010 .08
한국 헌법상 국제조약의 지위
저스티스
2019 .02
국제기구에 관한 조약의 국회동의
국제법학회논총
2011 .09
개헌시 국회동의 대상조약 항목의 재검토
국제법학회논총
2017 .06
조약의 체결·비준에 대한 국회의 동의
서울국제법연구
2004 .06
조약체결 · 이행 절차에 관한 의회-행정부 간 권한확보 경쟁 : 조약유형의 분류 및 국회 동의권 행사에 대한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보
2019 .03
입법사항에 관한 조약의 체결,비준에 대한 국회의 동의권
서울국제법연구
2013 .06
2. 한국의 조약체결 현황
서울국제법연구
2007 .06
2. 한국의 조약체결 현황 (2003년 6월 1일~11월 30일 공포분)
서울국제법연구
2003 .12
2. 한국의 조약체결 현황
서울국제법연구
2006 .12
대통령의 조약체결권과 국회의 비준동의권
강원법학
2017 .10
헌법상 조약체결권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2012 .03
조약의 체결·비준에 대한 국회의 동의권
서울국제법연구
2008 .06
조약 관련 대통령 헌법개정안에 대한 평가 : 대통령과 국회 간 권한의 배분을 중심으로
저스티스
2019 .02
미국헌법 제6조 2항의 해석과 관행
미국헌법연구
2010 .02
시제법적 관점에서 본 한국병합관련 ‘조약’의 효력 : 조약 체결의 형식과 절차를 중심으로
국제법학회논총
2009 .08
한국의 조약정보 관리상의 오류 실태
국제법학회논총
2009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