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韓國史硏究 제140호
발행연도
2008.3
수록면
221 - 248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King Kojong(高宗) recognized that Great Britain was a Big Power. Therefore King Kojong hoped that Great Britain would perform a mediation role in the balance of power. Also King Kojong hoped that Great Britain would use one' influence in conclusion of international treaty for Independence of Great Han Empire.
The Great Han Empire was cautious of an infringement of sovereignty by Russia. The Great Han Empire approached to Great Britain for safeguard of sovereignty. King Kojong complied with Great Britain's request. Namely King Kojong granted to Great Britain Eunsan(殷山) mining concession and Masanpo(馬山浦) lease.
Great Britain concluded a treaty of Anglo-Japanese alliance with Japan in January 1902. Great Britain cooperated with Japanese advance into the Great Han Empire.
King Kojong prepared for break out of Russian-Japanese War. As a result Great Han Empire made public declaration of neutrality successfully on the eve of Russian-Japanese War. As mentioned above, King Kojong approached to Great Britain. But Great Britain had negative view for subject of Great Han Empire's Independence. Therefore Great Britain doesn't have the least interest in subject of Great Han Empire's neutralization. As a result a policy toward Great Britain of King Kojong received a setback.

목차

Ⅰ. 머리말
Ⅱ. 대한제국 수립 이전의 대영 정책
Ⅲ. 대한제국 수립 직후의 대영 정책
Ⅳ. 용암포 사건 이후의 대영 정책
Ⅴ.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4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0-2009-911-018288430